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16.


《충청의 말들》

 나연만 글, 유유, 2024.10.4.



교대나루에서 ‘동해선’을 탄다. 어제 장만한 책을 읽는다. 일광나루에 내려서 볕자리에 앉는다. 늦여름볕을 후끈후끈 받으며 노래 두 자락을 쓴다. 한여름볕에는 땀방울이 송글송글 맺는데, 늦여름볕에는 깨방울이 될 동 말 동 조그만 땀방울이 졸졸졸 맺는다. 일광이지원2차 작은책숲에서 우리 ‘셈말(숫자용어)’에 숨은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놓는다. 열두 해에 걸쳐서 헤아리며 찾아낸 이야기인데, 다시 풀어내고 새로 들려줄 적마다 ‘0(고요·빔·없)부터 1조(울·우리)’에 이르는 사이에 숱한 삶·살림·사랑이 피어난다. 등허리를 조금 편 뒤에 저녁부터 밤까지 〈책과 아이들〉 책시렁을 옮겨서 책을 모두 새로 꽂는 일을 돕는다. 새벽 03:30에 잠자리에 든다. 《충청의 말들》을 돌아본다. 일부러 “-의 말들”로 책이름을 짠다만, ‘일본말씨 + 옮김말씨’인 책이름이자 얼개로 사투리를 다룬다고 할 적에 얼마나 속빛을 들여다볼는지 알 길이 없다. 우리는 왜 일본옮김말씨를 써야 할까? 우리말로 ‘충청말’이나 ‘충청 사투리’나 ‘충청 마을말’이라 하면 된다. 또는 ‘충청 삶말’이나 ‘충청 살림말’처럼 이름을 붙이면, 줄거리와 이야기도 확 바뀐다. 예부터 윗자리에서 굴레에 가두며 길들였는데, 이제 우리 스스로 떨칠 때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