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별할 것 없는 아쿠타 1
이나이 카오루 지음, 김수연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5년 6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8.20.
책으로 삶읽기 1038
《특별할 것 없는 아쿠타 1》
이나이 카오루
김수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6.30.
《특별할 것 없는 아쿠타 1》(이나이 카오루/김수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를 읽었다. 석걸음으로 맺는데 둘째와 셋째를 읽을지 말지 망설인다. 뒷걸음을 안 보아도 이미 첫걸음에 줄거리와 ‘뒷밥’까지 다 나오는 셈이다. 다만, 뒷밥을 첫걸음에 이미 헤아릴 수 있더라도, 이 줄거리를 읽으면서 오늘 이곳에서 짓는 삶을 새롭게 바라보는 징검다리나 밑돌이라면 반갑다. 이와 달리 또다시 뻔한 틀과 굴레로 가두는 붓질이라면 반가울 수 없다. ‘끝(멸망·종말)’이란 무엇이고 ‘너머(외계)’는 무엇인가? 밖에서 쳐들어오기에 끝장나는 일이란 없다고 느낀다. 우리 스스로 망가지고 무너지기에 끝장날 뿐이라고 느낀다. 온누리 모든 다 다른 숨결은 저마다 다르게 어울리기에 푸른별이라는 터전일 이룬다. 나쁜짐승이나 나쁜벌레란 있을 턱이 없다. ‘나쁜너머(사악한 외계생명체)’가 따로 있을 수 있는가? 그리고 앳된 아이들이 ‘죽임질’을 서슴없이 해댈 수 있는 줄거리가 ‘지킴(지구수호)’일 수 있는가?
ㅍㄹㄴ
“하지만 우리는 그 어느 때라도 하루하루를 살아가야만 하죠. 피자 토스트를 굽거나, 산책을 하면서. 그게 앞으로의 전투라고 저는 생각해요. 아쿠타 씨는 어때요?” (28쪽)
“세상 사람들은 종말의 위기로부터 간신히 회복한 세계에서, 내가 이즈리언과 싸우는 동안에도 이런 걸 갖고 놀고 있었다니.” (69쪽)
+
혼자 일망타진했다는 그 소문의
→ 혼자 다 잡았다는 바로 그
→ 혼자 싹쓸이했다는 바로 그
6쪽
그게 앞으로의 전투라고 저는 생각해요
→ 저는 앞으로 그렇게 싸운다고 봐요
→ 저는 앞으로 그처럼 싸운다고 여겨요
28
전 세계에 하나둘씩 나타나지
→ 온누리에 하나둘 나타나지
→ 곳곳에 하나씩 둘씩 나타나지
39
세상 사람들은 종말의 위기로부터 간신히 회복한 세계에서
→ 사람들은 벼랑끝에서 힘겹게 벗어난 곳에서
→ 사람들은 끝장난 고비에서 겨우 살아난 데에서
6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