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색감의
이런 색감의 옷도 어울린다 → 이런 빛깔 옷도 어울린다
옅은 색감의 화풍으로 → 옅은결 붓끝으로
‘색감(色感)’은 “1. 색에 대한 감각 2. 색에서 받는 느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색감 + -의’ 얼개라면 ‘-의’를 털면서 ‘결·느낌·맛·물’이나 ‘꽃물·꽃빛물·꽃물감’으로 손질할 만합니다. ‘빛·빛깔’이나 ‘빛결·빛기운·빛값’으로 손질해도 돼요. ‘빛나다·빛있다·빛접다’나 ‘빛살·빛발’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사람들 대부분 어두운 색감의 옷을 입고 있었다
→ 사람들 거의 다 어두운 느낌인 옷을 입었다
→ 사람들 거의 다 어두워 보이는 옷을 입었다
→ 사람들 거의 모두 어두운 옷을 입었다
《한복, 여행하다》(권미루, 푸른향기, 2017) 35쪽
따사로운 색감의 그림들, 아이들의 표정
→ 결이 따사로운 그림, 아이 얼굴
→ 따사롭게 물들인 그림, 아이 낯빛
《그림책 톡톡 내 마음에 톡톡》(정봉남, 써네스트, 2017) 114쪽
우리 집 주방에도 강렬한 색감의 무언가가 생겼군
→ 우리 부엌에도 눈부신 그릇이 생겼군
→ 우리집 부엌도 알록달록 빛나는군
《내가 좋아하는 것들, 그릇》(길정현, 스토리닷, 2025) 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