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동물원 動物園
온 가족이 동물원으로 나들이를 갔다 → 온집안이 짐승뜰로 나들이를 갔다
동물원은 폐지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 가두리는 없애야 한다는 소리가 높다
‘동물원(動物園)’은 “각지의 동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일정한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을 가리킨다고 하지요. 그러나 들짐승과 숲짐승과 바다짐승을 함부로 잡아서 돈으로 사고팔면서 가두는 곳이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어느 모로 보면 ‘짐승뜰’이나 ‘짐승뜨락·짐승마당·짐승터’일 테고, 어느 모로 보면 ‘가두다·가두리’나 ‘가둠터·가둠굿·가둠칸’이나 ‘짐승우리·짐승울’입니다. ㅍㄹㄴ
동물원에 가면 마음껏 먹으며 편하게 살 수 있어
→ 짐승뜰에 가면 마음껏 먹으며 느긋이 살 수 있어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곰》(린드 워드/공경희 옮김, 웅진주니어, 2002) 82쪽
이 나들이에서 얻은 게 있다면 동물원에서 서로 다른 방에 갇힌 동물들처럼, 남편과 나 역시 서로 연결되지 못하고 자기만의 생각에 갇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는 점이다
→ 이 나들이로 배웠다. 짐승뜰에서 서로 다른 칸에 갇힌 짐승처럼, 짝꿍과 나도 서로 잇지 못하고 저한테만 갇힌 줄 알아보았다
→ 이 나들이로 배웠으니, 짐승터에서 서로 다른 칸에 갇힌 짐승처럼, 짝과 나도 서로 잇닿지 못하고 스스로 갇힌 줄 알아차렸다
《그림책에 흔들리다》(김미자, 낮은산, 2016) 173쪽
비건을 지향한 이후로 동물원에 가지 않고 있지만
→ 풀밥을 바라고서 짐승뜰에 가지 않지만
→ 풀을 먹은 뒤부터 짐승터에 안 가지만
《노래하는 복희》(김복희, 봄날의책, 2021) 137쪽
별빛 동물원에 놀러올래?
→ 별빛 짐승뜰에 놀러올래?
《멋진 하나》(강기화·홍종훈, 동시요, 2021) 24쪽
동물원에 살지만 실은 적막 속에 있는 것 같아요
→ 짐승우리에 살지만 막상 고요히 갇힌 듯해요
→ 짐승터에 살지만 아마 말없이 잠긴 듯해요
《고향에 계신 낙타께》(김성민, 창비, 2021) 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