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지방도시
지방도시 출신이라고 괄시를 한다 → 작은고을내기라고 얕본다
지방도시라서 차별을 받았다 → 시골이라서 따돌린다
지방도시로 발령이 나오다 → 멀리 내려보내다 / 바깥으로 맡기다
지방도시 : x
지방(地方) :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 주현(州縣)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도시(都市) : 일정한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지방도시(地方都市)’라는 일본말을 들여오면서 정작 뜻은 엉뚱하게 쓰는 우리나라입니다. 고을마다 고을빛을 살리려고 하기에 ‘마을빛·고을빛·고장빛’처럼 쓰는 이웃나라 일본이라면, 이 나라에서는 으레 ‘밖’이나 ‘멀다’나 ‘시골’로 여기곤 합니다. 이제는 ‘마을·고을·고장’으로 알맞게 손볼 만하고, 서울이 아닌 곳을 가리킬 적에는 ‘다르다·또다르다·여느’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시골·실’이나 ‘곳·데·자리·쪽·즈음·쯤’으로 손봅니다. ‘땅·녘·골·께·밭’이나 ‘꼬마·꼬마나라·꼬마누리’나 ‘터·터전·판’으로 손보아도 돼요. ‘멀다·먼발치·멀리·먼곳·먼길’이나 ‘바깥·밖·바깥쪽·바깥자리·바깥길’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작은골·작은고을·작은고장’이나 ‘작은마을·작은말·작은곳·작은터’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ㅍㄹㄴ
지방 도시의 문화행사에 강연을 하러 갔다
→ 어느 곳 한마당에 이야기를 하러 갔다
→ 어느 고을 한잔치에 말꽃을 펴러 갔다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15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