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1.21.


《盧天命 詩集》

 노천명 글, 서문당, 1972.12.20.



구름이 짙게 끼다가도 사라진다. 별이 차츰 깊다. 큰아이가 “겨울은 밤이 더 까맣게 보여요” 하고 말한다. 밤이 길기에 더 까맣게 물든다고 여길 만하지. 수수한 눈길이요 말인데, 이 대목을 스스로 알아보지 못 하는 이웃이 나날이 는다. 요즈음 어린이나 푸름이 가운데 누가 낮빛과 밤빛을 가릴 수 있으려나. 들빛과 숲빛과 바다빛을 찬찬히 읽는 어린이는 몇이나 되나. 예닐곱 살조차 아닌 너덧 살 아이들조차 손전화를 쥐고서 고개를 숙이는 판이다. ‘어른이기를 잊은 우리’ 스스로 이런 매무새이기에 아이들까지 모조리 길들여서 죽이는 꼴이라고 느낀다. 《盧天命 詩集》을 오랜만에 되읽었다. 배움불굿(입시지옥) 탓에 1991∼93년에 자꾸자꾸 읽고 외워야 했으니 서른 몇 해 만에 읽은 셈인데, 그냥 글(문학)로도 참 못났구나 싶다. 그야말로 대단히 배부른 자리에서 이웃이 누구인지 하나도 모르는 채 담벼락 안쪽에서 하느작거린 자취를 엿볼 만하다. 그런데 이런 책에 ‘이희승’이 추킴글을 썼다. 다 한통속이라는 뜻이다. 더 헤아려 본다면, 1972년에 이런 책을 선뜻 펴낸 곳도 나란히 ‘군사제국주의·군사독재 이바지’를 했다고 여길 만하다. 이제 노천명이나 모윤숙 따위를 읊거나 가르치지 않겠지만, 다른 끄나풀도 수두룩하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