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소유 所有
양반들의 소유가 되었다 → 양반들이 가졌다 / 양반들이 거머쥐었다
유 선달의 소유도 아니다 → 유 선달 것도 아니다
노력하는 사람에게 소유된다는 → 애쓰는 사람이 가진다는
토지를 소유하다 → 땅이 있다 / 땅을 갖다 / 땅을 거느리다
주식을 소유하다 → 주식이 있다 / 주식을 갖다
‘소유(所有)’는 “가지고 있음. 또는 그 물건”을 가리킨다고 해요. ‘가지다’나 ‘있다’로 손볼 만하고, ‘갖추다’나 ‘거느리다’로 손보아도 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소유’를 세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5.30.물.ㅅㄴㄹ
소유(所由) : [역사] 고려 시대에, 사헌부에 속한 구실아치
소유(溯游) : 물이 흐르는 대로 따라 내려감
소유(蘇油) : 1. 우유로 만든 버터 모양의 기름. 먹거나 몸에 바르기도 한다. 밀교(密敎)에서는 호마(護摩)를 수행할 때 사용한다 2. 소마나(蘇摩那)의 꽃에서 추출해 낸 향유
이 근처 빌딩들도 우리 회사 소유지
→ 이 둘레 건물도 우리 회사 것이지
→ 이 둘레 건물도 우리 회사가 거느리지
《신 이야기》(고다 요시이에/안은별 옮김, 세미콜론, 2014) 79쪽
집을 소유하고 있고
→ 집이 있고
→ 집을 거느리고
《채소의 신》(카노 유미코/임윤정 옮김, 그책, 2015) 189쪽
많은 재산을 소유한 독신 남자가
→ 재산이 많이 있는 독신 남자가
→ 돈이 많고 혼자 사는 사내가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테리 이글턴/이미애 옮김, 책읽는수요일, 2016) 51쪽
책을 소유하는 것만으로 내 것이 될 수 없다는 걸 안다
→ 책을 가지기만 해서는 내 것이 될 수 없는 줄 안다
→ 책을 간직하기만 해서는 내 것이 될 수 없는 줄 안다
→ 책을 갖추기만 해서는 내 것이 될 수 없는 줄 안다
→ 책을 쥐기만 해서는 내 것이 될 수 없는 줄 안다
《여행자의 동네서점》(구선아, 퍼니플랜, 2016) 110쪽
다른 나라들이 갖고 있지 않은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을까
→ 다른 나라들이 가지지 않은 어떤 것이 있을까
→ 다른 나라들에 있지 않은 어떤 것이 있을까
→ 다른 나라들에 없는 어떤 것이 있을까
《오브 아프리카》(월레 소잉카/왕은철 옮김, 삼천리, 2017) 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