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0.11.4.
 : 빈 수레 끌고 언덕 오르기



- 아이를 태우고 마을을 한 바퀴 돌려고 했는데, 아이가 그만 오늘은 일찍 낮잠을 잔다. 여느 때에는 잘 안 자더니, 그동안 안 자던 낮잠이 한꺼번에 몰려 왔나. 낮잠을 자 주어 고맙다고 느끼는 한편, 늘 안 자려던 낮잠에 푹 빠져드는 아이가 걱정스럽다.

- 아이를 태우려던 수레를 떼어 놓고 마을 가게를 들를까 하다가 수레를 그대로 붙이고 달리기로 한다. 수레 무게만 하여도 제법 나가기 때문에 수레를 안 달고 달리면 한결 가볍다. 그렇지만 수레를 달고 달려 버릇해야 아이를 태우고 다니는 내 다리가 차츰 익숙해질 테지. 더군다나, 아이를 낳기 앞서부터 아이를 낳은 뒤로 자전거를 얼마나 못 타며 지냈는가. 집식구 돌보랴 아이 안고 다니랴 하면서 늘 걸어다니기만 했지, 자전거는 좀처럼 탈 겨를을 못 냈다. 그러니까, 오늘처럼 아이가 낮잠을 자며 수레에 태울 수 없다 하더라도 빈 수레를 끌면서 돌아다녀야 한다.

- 오르막을 오른다. 마을 오르막이지만 꽤 가파르다. 높이는 낮지만, 처음부터 길이던 길이 아니라 가파르다. 새로 뚫는 고속도로나 고속철도는 아예 곧으며 높낮이가 없도록 닦는다. 이웃마을 멧등성이를 가로지르는 새 고속도로 닦는 모습을 가끔 올려다보는데, 우람하며 높직한 시멘트 기둥이 몹시 무섭다. 예전에는 길을 낼 때에 멧자락을 구비구비 돌도록 닦았는데, 이제는 굴을 내고 다리를 놓는다. 그런데 이런 생각을 할 때인가. 오르막이나 잘 올라가야지.

- 오르막을 다 오르고 삼백 살 가까이 나이를 먹은 느티나무 옆을 지난다. 며칠 앞서 이 길을 아이를 태우며 지날 때하고 그리 다르지 않다는 느낌이다. 곰곰이 생각해 본다. 아이 몸무게는 십오 킬로그램 즈음 된다. 수레 무게만 해도 이십 킬로그램이 넘는다. 이십 몇 킬로그램을 끄나 사십 킬로그램쯤을 끄나 매한가지일까.

- 마을 가게에 들러 달걀을 사고 김치를 얻어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택배 짐차를 두 번 만나다. 처음 만난 택배 짐차 아저씨가 나를 보고 꾸벅 고개를 숙이며 인사를 한다. 이때에 난 오르막을 오르고 있었기에 ‘어, 어.’ 하면서 가쁜 숨을 몰아쉴 뿐 인사를 못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골목마실을 할 때마다 새로운 꽃을 만난다. 그러나 무슨 꽃인지 제대로 알아채는 일은 드물다. 아마 네이버지식인에 사진을 올리면 10분도 안 되어 누군가 잘 알려줄 테지. 그러나 네이버지식인에는 잘 안 올린다. 이름을 모르더라도 언제나 즐겁게 인사하며 고맙게 꽃잎을 쓰다듬으니까.

 - 2010.8.31.인천 중구 중앙동2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10-11-06 05:12   좋아요 0 | URL
꽃범의 꼬리로 보이네요. ^^ 네, 꽃 이름이 '꽃범의 꼬리'에요.

숲노래 2010-11-06 08:33   좋아요 0 | URL
오오.. 범의꼬리라...
얼핏 들어 본 듯한 이름이네요.
이렇게 꽃이름을 잘 아는 분들은 참 대단하고 놀랍습니다~~~~ :)
고마워요~
 


 별빛 보는 마음


 도시에서는 별빛을 볼 수 없다. 도시라는 곳은 처음부터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한테 별빛을 볼 수 없도록 가로막았는지 모른다. 도시에서는 오로지 한 가지만 보도록 꽁꽁 틀어막았는지 모른다.

 도시에서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 도시에는 사람들로 바글바글하니까 사람을 보라는 도시일까? 글쎄, 도시에 가 보면 사람은 몹시 많다. 큰 도시로 갈수록 사람이 훨씬 많으며, 이 나라에서는 서울에 사람이 가장 많고 부산이 둘째로 많다. 그렇지만 이 많은 사람들이 서로를 ‘나와 같은 사람’으로 바라보는지는 잘 모르겠다.

 도시에는 자동차가 참 많다. 자동차들도 작은 차는 드물고 커다란 차가 많다. 어쩌면, 도시라는 곳은 자동차를 보라는 곳일까. 그러나 다들 ‘내 차’를 자랑하거나 뽐낼 뿐, 다른 사람 차는 바라보지 않는다. 다른 차들은 처음부터 없는 양 마구 휘젓거나 내달리기 일쑤이다.

 도시에는 높은 건물이 매우 많다. 어디를 가든 건물이다. 놀고 있는 땅이 없다. 놀고 있는 땅이 있는 데는 도시라 하더라도 어딘지 시골스럽다 할 만하다. 그러나저러나, 높은 건물 가득한 도시에서는 새로운 높은 건물이 끊임없이 들어선다. 오늘까지 무척 높거나 으리으리하던 건물도 이듬날 새로 들어서는 높은 건물에 대면 보잘것없다.

 도시에는 예쁘거나 멋나다는 차림으로 다니는 사람이 많다. 값비싼 옷에 신에 노리개에 목걸이에 …… 손전화까지. 그러나 이런 옷차림이나 매무새 또한 서로서로 보아주는 옷차림이나 매무새라 하기 어렵다. 서로서로 내 모습을 뽐낼 뿐이다.

 도시에는 극장도 많고 책방도 많으며 도서관도 많다. 가게도 많고 술집도 많으며 밥집 또한 많다. 도시에는 우체국이 번쩍번쩍하고 동사무소 건물만 해도 몹시 크다. 새로 짓는 아파트는 어마어마한 마을을 이룬다. 하기는, 아파트라는 집은 ‘마을’이 될 수 없으나, 모든 아파트는 ‘무슨 마을’이라는 이름이 달라붙는다.

 볼일을 보러 도시로 나갈 때면 으레 숨이 막힌다. 도시에서 살아가던 때에는 우리 동네를 벗어나서 시내라든지 중심거리로 가까워질수록 숨이 갑갑했다. 볼일을 마치고 시골집으로 돌아올 때면 차츰 마음이 풀리고 숨이 고르다. 문화라든지 여가라든지 시골에서 무엇을 즐기느냐고들 하지만, 시골에서는 하루하루가 늘 문화이고 여가이다. 사람들은 도시에서 살아가며 주말을 맞이해 바다라든지 산이라든지 숲이라든지 공원이라든지 찾아가는데, 시골사람한테는 시골 보금자리가 바다이거나 산이거나 숲이거나 들판이다. 굳이 주말을 맞이해 ‘자연을 찾아 몸과 마음을 쉴’ 까닭이 없다. 시골 들판이나 멧자락에서 일할 때에는 도시사람이 일할 때처럼 땀을 흠씬 쏟았어도 일이면서 놀이가 된다. 일이면서 쉼인 셈이다. 장날에 맞추어 가끔 읍내에 나가 바깥구경을 한다 할 만한데, 읍내에 나가 장마당을 휘 돌아보는 데에는 얼마 걸리지 않는다. 모처럼 ‘택시 같은 시골버스’ 타는 맛을 즐긴다고 할까.

 저녁부터 이듬날 새벽까지 밤하늘 별을 본다. 오늘은 밤안개가 짙게 깔려 별을 올려다보지 못한다. 그러나 밤안개를 느낄 수 있어 좋다. 별이 보이면 별을 보고, 별을 가리는 구름이 가득하면 구름을 본다. 밤안개가 짙으면 밤안개를 본다. 다만, 미리내만큼은 찾아보지 못한다. 제아무리 한국땅 시골이 정갈하거나 말끔하다 하더라도 온나라가 공장과 아파트와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와 재개발과 관광단지 들로 시끌벅적한데, 미리내를 예쁘게 즐길 만한 곳이 얼마나 되겠는가.

 낮나절 무지개를 즐길 수 있을 때에 밤나절 미리내를 즐긴다. 자동차가 아닌 두 다리나 자전거를 사랑하면서 내 삶터와 내 보금자리를 고이 건사할 수 있을 때에 무지개와 미리내를 맞아들인다. 차소리 아닌 새소리를 들으며 맹꽁이와 개구리 우는 소리를 받아들일 때에 무지개와 미리내를 받아들인다.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넘어선다면 미리내와 무지개는커녕 개구리와 잠자리까지 씨가 말라 버린다. 국민소득은 5천 달러로도 넉넉하며 1천 달러라 할지라도 모자라지 않다. 국민소득이 100만 달러가 된달지라도 미리내와 무지개는 사들이지 못한다.

 아는가? 100억 원을 벌어들이는 사람이 100만 권에 이르는 책을 읽는가? 10억 원을 벌어들인 사람이 10만 권에 이르는 책을 읽었는가? 1억 원을 벌고자 애쓰는 동안 1만 권에 이르는 책을 읽을 겨를을 낼 수 있는가? 고작 1천만 원 번다며 아둥바둥하는 동안 기껏 1천 권에 이르는 책조차 손에 쥐지 못한다. (4343.11.5.쇠.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 북촌에 기와집이 많다고들 한다. 그런데 기와집은 온 나라 곳곳에 참 많이 남아 있다. 다들 서울만 바라보니까 서울에만 기와집이 있는 줄 생각한다. 그래, 서울은 온 나라 사람들한테서 세금을 걷어들여 살림을 북돋았으니 기와집이 더 많다 하겠지. 그러면, 서울땅 기와집 마을은 얼마나 예쁘거나 아리따우려나. 

- 2010.9.18. 인천 동구 송현2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두르는 마음


 아이가 낮잠을 잔다. 만화책을 보는 아빠 팔을 베고 한참 놀다가, 아빠 팔을 베고 엄마 뜨개질 바늘을 셋 쥐고 놀다가 어느새 스르로 잠이 든다. 낮잠을 안 자면 자전거 수레에 태워 살짝 마을 한 바퀴 돌까 했는데, 용케 고이 잠들어 준다. 한동안 그대로 있다가 팔을 빼어 아이 자리에 눕힌다. 아이가 살짝 응응거린다. 조금 기다린 뒤 기저귀를 채우려 하는데 퍼뜩 깬다. 울면서 엄마를 찾는다. 조용히 기다리니 엄마 품에서 다시 새근새근 잠이 든다. 아이가 잠이 든 이때에 무언가 좀 해 보려 하는데 잘 안 된다. 아이가 잠이 들었으니 이 틈을 살리자고 하는 생각에 매여 외려 아무것도 못한다. 그저 아이도 엄마도 모두 잠든 깜깜한 새벽나절에 일찌감치 일어나 글을 쓴다고 바스락거리며 일감을 붙잡아야 하는가 보다.

 히유 하고 한숨을 내쉰다. 도시에서 시골로 들어온 까닭은 더 느긋하며 즐겁게 살아가고 싶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즐거이 장만한 책들을 더 느긋하게 나누면서, 이 고마운 책들 이야기를 한결 신나게 쓰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아이가 잠들었다 하더라도 이 느긋한 때에 더 알차게 책이야기를 쓸 수는 없겠지. 이런 때에는 아빠도 아이 곁에 누워서 모자란 잠을 자든지, 마당에서 해바라기를 하며 책을 읽는다든지, 때로는 자전거를 타고 읍내에 가서 능금 몇 알이나 포도 몇 송이를 사 올 때가 나을까 싶다.

 아이랑 아이 엄마랑 곱게 잠든 낮나절, 겨울을 코앞에 둔 산골마을 해는 일찍 떨어진다. 이제 빨래를 집으로 들여야겠고, 저녁에 무엇을 끓여 먹을까 곰곰이 생각하면서, 자전거를 타고 마을을 한 바퀴 돌아야겠다. 찬바람을 쐬며 머리를 식히자. (4343.11.4.나무.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