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빠는 피에로 난 책읽기가 좋아
발레리 제나티 지음, 심지원 옮김, 키미코 그림 / 비룡소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맑은책시렁 188


《우리 아빠는 피에로》

 발레리 제나티 글

 키미코 그림

 심지원 옮김

 비룡소

 2007.4.30.



솔직히 말해서 언니 노릇 하기가 이렇게 힘든 날이 많아요. 그러니 나한테 훈장이나 꽃다발을 줘야 마땅하다고요. 숙제도 없애 줘야 하고요. 하지만 그런 일은 아무도 생각조차 안 하는걸요. (15쪽)


엄마의 불안한 목소리가 나에게까지 들려왔어요. “어쨌든 세바스티앙, 피에로가 되는 건 점잖은 일이 아니야!” “바로 그거야. 나는 점잖게 사는 데 질렸다고. 이제 맘껏 웃고 싶고 다른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고 싶어.” (23쪽)


나도 크면 내 마음에 드는 직업을 고르려고 할 거야. 지루한 일에 평생을 바치고 싶지 않으니까. 또 친구들이 축제에서 아빠나 나를 놀린다면, 그 애들에게 나는 놀림 따위는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해 주면 되지. 그리고 우리 아빠는 세상에서 제일 다정한 아빠라고 말할 거야. 우리 아빠는 맞춤법도 아주 잘 알고, 언제나 우리와 함께 시간을 보내 준다고! (58쪽)



  아이는 어버이를 보고 자랍니다. 어버이가 슬기롭게 하루를 짓는 살림길을 걸으면, 아이는 이러한 살림길을 고스란히 바라보고 느껴서 받아들입니다. 어버이가 바쁘게 몰아치는 하루에 헉헉거리는 쳇바퀴질을 하면, 아이는 이러한 쳇바퀴질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느껴서 받아들여요.


  아이를 낳은 어버이는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아야 즐거울까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사랑이란 무엇일까요? 아이를 낳을 적에 이 아이가 앞으로 어떻게 자라기를 바란다는 꿈이 있었을까요? 어찌하다 보니 아이를 낳았는지, 어버이로서 새롭게 삶길을 가고 싶어서 아이를 바랐는지 곰곰이 돌아볼 노릇입니다.


  《우리 아빠는 피에로》(발레리 제나티·키미코/심지원 옮김, 비룡소, 2007)는 피에로라는 길을 가기로 다짐한 아버지가 나오는 어린이문학입니다. 이 책에 나오는 아버지는 그동안 ‘남이 시키는 일’만 했다는데, 이제는 ‘스스로 바라는 일’을 하겠다고 다짐합니다. 이 책에 나오는 어머니는 곁님이 ‘돈이 다달이 넉넉히 들어오는 일’을 갑자기 그만두고 ‘돈을 벌는지 못 벌는지 알 수 없는 일’을 하겠다니 단단히 뿔이 납니다. 이 책에 나오는 큰아이는 아버지가 하고 싶다는 ‘피에로’라는 일이 동무 앞에서 창피하다고 여깁니다.


  함께 생각해 보면 좋겠어요. 돈을 잘 벌 수 있는 일이라면 내키지 않거나 거북하거나 끔찍하거나 못마땅한 일이라 해도 그냥 하면 좋을까요? 돈을 잘 벌 수 있으니 죽는 날까지 꾹꾹 참으면서 돈만 잘 벌면 될까요?


  돈을 얼마쯤 벌는지 모르나 스스로 홀가분하면서 기쁜 일을 하는 삶이란 무엇일까요? 남 눈치를 봐야만 삶일는지, 남 눈치가 아닌 우리 마음을 바라볼 줄 아는 삶일는지 하나하나 헤아리면 좋겠어요.


  이 책에 나오는 큰아이는 처음에 아버지 삶길이 살짝 못마땅합니다만, 이는 사회나 학교에서 배우거나 길든 생각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아버지를 늘 지켜볼 적에 아버지가 얼마나 상냥하고 훌륭한가를 잘 알거든요. 그래서 큰아이도 남 눈치가 아닌 제 마음을 바라보는 길을 어버이 곁에서 차근차근 배웁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탐정 코난 8
아오야마 고쇼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으로 삶읽기 363


《명탐정 코난 8》

 아오먀아 고쇼

 이희정 옮김

 서울문화사

 1997.5.25.



“아무것도 모르는 건 도시히코, 바로 너야! 사유리는 전부 다 알고 있었어! 20년 전에 있었던 사고도, 네 과거까지도 전부 다!” “웃기지 마! 내 정체를 알고서 나랑 결혼할 리가 없잖아?” “사유리가 레몬티를 마시는 걸 보고도 아직도 모르겠어? 넌 사유리가 20년 동안이나 사랑한, 첫사랑이라구!” (182쪽)



《명탐정 코난 8》(아오야마 고쇼/이희정 옮김, 서울문화사, 1997)을 읽으면 첫사랑하고 얽힌 이야기가 도드라진다. 호텔에서 벌어진 죽임질에 이어 이 얘기가 흐르는데, 첫사랑을 마음에 깊이 두면서 이이하고 얽힌 모든 실타래를 너그러이 품고 싶은 뜻이 잔잔하다. 이와 달리 죽임질로 뭔가 앙갚음을 하고, 또 스스로 바보가 되려는 사내는 ‘죽이려고 나쁜 것을 탄 레몬차를 일부러 마신 사람’이 어떤 마음이었고 삶이었는가를 뒤늦게 듣고는 그때까지 쌓은 거짓담이 와르르 무너진다. 참 앞에서는 어떤 거짓이든 무너지기 마련이다. 아무리 높고 단단히 거짓담을 둘러치거나 쌓더라도 참 한 마디에 몽땅 사라지기 마련이고. 앙갚음이란 뭘까? 뭘 앙갚음으로 씻을까? 앙갚음이 되기나 할까? 그러나 우리는 모르고 또 모르고 그야말로 모르니까 똑같은 짓을 되풀이하고 쳇바퀴에 갇히지 싶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탐정 코난 7
아오야마 고쇼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1997년 2월
평점 :
절판


책으로 삶읽기 362


《명탐정 코난 7》

 아오먀아 고쇼

 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1997.5.15.



“그 유서가 남아 있는 줄 알았다면 내가 그런 짓을 할 필요가 없었는지도 몰라.” “어? 이거 안 읽었어요? 그럼 어떻게 아버지의 일을 알았죠?” “나 혼자서 조사했어.” (120쪽)



《명탐정 코난 7》(아오야마 고쇼/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1997)을 읽으면, 죽고 죽이는 사람들이 잇달아 나온다. 일곱걸음에 나오는 사람들은 앞걸음에 나온 사람하고 엇비슷하다. 가만 보면 모든 사람은 엇비슷할 수 있다. 미움이나 시샘으로 누구를 없애고 싶어하고, 미움이나 시샘으로 누구를 없앤 뒤에도 미움이나 시샘이 사그라들지 않을 뿐 아니라, 홀가분한 마음조차 못 된다. 삶이란 그렇다. 비록 한때 미움이나 시샘에 젖어들어 살았어도 이를 씻어내고서 사랑으로 살아가려 한다면 삶이 이날부터 확 바뀐다. 이와 달리 사랑은 아무래도 안 되겠다고, 두 손이 미움하고 시샘으로 젖었다고 여기면, 끝내 사랑길은 못 가고 미움길하고 시샘길에 헤매고 아프다고 스스로도 죽음길로 간다. 죽음이 씻어 줄까? 죽음으로 무엇을 씻을까? 죽음으로 씻을 수 있는 길이란 아무것도 없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물비와 세레나데 2 삼양출판사 SC컬렉션
카와치 하루카 지음, 심이슬 옮김 / 삼양출판사(만화)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 삶읽기 358



《눈물비와 세레나데 2》

 카와치 하루카

 심이슬 옮김

 삼양출판사

 2018.5.31.


‘스스로도 과연 무엇을 위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통 모르겠지만, 어디에 있는들 무엇을 하든 결국 나는 어디에도 없는 듯한 느낌이 든다. 닥치는 대로 움직일 수밖에 없어.’ (74∼75쪽)



《눈물비와 세레나데 2》(카와치 하루카/심이슬 옮김, 삼양출판사, 2018)을 읽고서 세걸음은 언제 나오려나 하고 손꼽아 본다. 이야기를 엮는 맛하고 멋이 그윽하다. 어쩌면 이 만화를 연속극이나 영화로도 찍을 수 있겠지. 그만큼 잘 빚었다. 다 읽고서 다시 넘기고 또 들추어 보노라면 딱히 어느 대목 어느 말이 이 만화에서 눈부시다고 뽑을 만하지는 않다. 그저 물이 흐르듯이 줄거리가 잘 흐른다. 다만 세걸음이나 네걸음, 또는 더 뒤로 흐르는 동안 짝짓기놀이에 너무 얽매인다면 재미가 확 떨어지겠지. 오늘하고 어제가 무엇인가를 놓고 어지러운 마음을 다스리는 결이 이 만화책에서 고빗사위라고 할 수 있다. 할머니랑 나랑 나이가 벌어지고 몸도 다르다지만, 할머니가 내 나이만 했을 적에 어떤 눈으로 어떤 삶을 보고 어떤 길을 어떤 몸짓으로 걸었을는지 헤아리기도 하는 숨결이 이 만화책에서 알맹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세걸음이나 네걸음에서도 부디 잘 잡아채어 주기를 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쿄의 부엌 - 맛있는 이야기가 익어가는
오다이라 가즈에 지음, 김단비 옮김 / 앨리스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책으로 삶읽기 361


《도쿄의 부엌》

 오다이라 가즈에

 김단비 옮김

 앨리스

 2018.7.20.



“사실은 무엇을 먹는지도 그리 중요하지 않아요. 오이를 베어 먹더라도 가족이 웃으면서 먹는다면 그게 가장 큰 행복이니까요.” (169쪽)



《도쿄의 부엌》(오다이라 가즈에/김단비 옮김, 앨리스, 2018)을 읽었다. 서울처럼 커다란 고장에서 사는 분이라면 이 책이 여러모로 끌릴 수 있지 싶다. 나도 전남 고흥이 아닌 인천이란 고장에 그대로 남아서 살았다면 이 책이 남달랐다고 여겼을는지 모른다. 그러나 시골에서 사는 살림지기 눈으로 보자면, 또 이 시골을 벗어나 숲으로 들어가서 살려는 마음으로 보자면, 그냥 그렇다. 도쿄에서 여러 부엌을 찾아다니면서 이야기를 듣고 사진을 찍었다고 하는데, 뭔가 와닿지 않는다. 어쩐지 붕 뜬 느낌이랄까. 시큰둥. 도쿄는 워낙 땅값이며 집값이 비싸니, 이런 데에서 집 한 칸 빌리거나 얻어서 살며 건사할 부엌이란 얼마나 머리를 굴리고 써서 알뜰히 여미어야 하는가를 새삼스레 느낄 뿐이다. 우리는 참말로 누구나 마당 있고 텃밭 있으며 꽃뜰이 넉넉한 집을 누려야 한다. 그냥 ‘우리 집’이 아니라 ‘바람을 마시고 햇볕을 먹는 넉넉한 보금자리숲’을 누리도록 이 별이 거듭나야 한다고 다시금 생각한다. 지구별 모든 나라에서 전쟁무기하고 군대를 없애면 이 일을 이루리라.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