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 불편’을 받아들이는 사람



  요즈음 사람들은 학교를 오래 다니면서 학교에서 짓궂은 이론을 몸에 익히고 만다. 이른바 ‘토론’이라는 허울을 붙이는 버릇이다. 학교에서 벌이는 토론은 언제나 ‘찬성·반대’로 가른다. 둘로 가른다. 온누리 어떤 일도 둘로 가를 수 없으나, 늘 이쪽과 저쪽으로 가르고 만다.


  토론이라는 허울을 해 본 사람은 알 텐데, 찬성과 반대로 갈라서 말을 나누면 언제나 싸움이 되고, 실마리를 하나도 풀지 못한다. 민주주의는 토론으로 이루어진다고들 하는데, 토론이란 ‘둘로 편가르기를 하면서 실마리는 얻지 않고 싸움으로 내모는 짓’이기 때문에, 어느 모로 본다면 민주주의란 ‘사람이 임자’라고 내세우지만, 정작 사람이 사람 스스로 깎아내리는 짓이 되는구나 싶다.


  실마리를 풀려면 토론이나 논쟁을 해서는 안 된다.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실마리를 풀도록 슬기를 모아야 한다. 찬성과 반대로 가를 까닭이 없다. 어느 쪽이 되든 대수롭지 않다. 무슨 말인가 하면, 마무리를 어떻게 짓든 대수로울 일이 없다. 찬성으로 끝나서 좋거나 반대로 끝나서 나쁘지 않다. 찬성이 되기에 나쁘거나 반대가 되기에 좋지 않다. 어느 쪽으로 마무리를 짓든, 실마리를 풀어서 제대로 길을 여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보기를 든다면, 밀양을 들 수 있을 텐데, 밀양 송전탑을 놓고 찬성과 반대로 갈라서 싸워 보았자 싸움만 될 뿐이다. 송전탑을 꼭 세워야 한다면, 밀양 시골마을을 다치지 않도록 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요즈음은 땅밑 깊이 구멍을 파면서 공사를 하는 솜씨가 있다고 한다. 바다밑에 길을 내려면 땅밑에서만 구멍을 길게 파야 할 테지. 그러니까, 발전소부터 도시까지 송전탑을 잇더라도, 멧자락과 마을 위로 지나가도록 할 노릇이 아니라, 땅밑으로 깊이 파고들어서 송전탑을 이어 주면 된다. 도시에서는 전봇대가 아닌 땅밑에 전깃줄을 파묻는다. 시골마을에 송전탑을 박지 말고, 땅밑으로 깊숙하게 지나가도록 하면 된다. 또는, 밀양사람이 받아들일 만한 공사법을 찾아서 밀양사람이 받아들일 때까지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될는지 저렇게 하면 괜찮을는지 자꾸자꾸 이야기를 주고받으면서 길을 찾아야 한다. 그러나, 한국전력과 중앙정부는 밀양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려 하지 않았다. 한국전력과 중앙정부는 ‘송전탑 찬성’만 외치는 허수아비가 되어 우격다짐으로 밀어붙였다.


  고속도로도 이와 같다. 아름다운 시골과 숲을 다치지 않도록 하자면, 땅밑으로 깊이 구멍을 파서 곧게 이어 주면 된다. 그런데 어떤 이는 달리 말할는지 모르리라. 이렇게 땅밑으로 깊이 구멍을 파서 이으려면 돈이 많이 든다고. 그러면, 마을과 숲을 몽땅 망가뜨리는 짓을 해서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크기’를 돈으로 따지면 어떠한가를 알아야 한다. 사람들이 마을과 숲이 안 무너지게 하려고 싸우는 동안 들어가는 돈은 또 얼마인가?


  밀양에 송전탑을 안 짓기로 한다면, 도시에서 자가발전을 하는 틀을 세우면 된다. 자가발전은 돈이 매우 적게 든다. 재생에너지를 쓰도록 널리 퍼뜨리면 유지비도 거의 안 든다. 그러니까, 우리가 할 일은 ‘토론·논쟁’이 아니고 ‘찬성·반대’가 아니다. 오직 ‘이야기’를 나누어야 하고, ‘실마리’를 찾도록 ‘슬기’를 모아야 한다.


  학교를 오래 다니면서 거짓스러운 민주 제도에 잘못 익숙하거나 길들기에 자꾸 찬성과 반대를 나누어 버릇하는데, 이런 버릇이 몸에 붙으면, 사람들은 그만 “진리가 불편하다!”와 같이 엉뚱한 말을 내뱉고 만다. 왜 진리가 불편한가? 진리란 또 무엇인가?


  한자말 ‘진리(眞理)’는 “참된 이치·참된 도리”를 뜻한다. ‘이치·도리’란 무엇인가 하면 “길”이다. “참된 길”을 한자말로 ‘진리’로 적어서 나타낸다. 한자말 ‘불편(不便)’은 “거북하다·괴롭다”를 뜻한다. 이리하여, ‘진리 불편’을 말하는 사람은 “참된 길이 거북하거나 괴롭다”고 밝히는 셈이다.


  참된 길은 거북하거나 괴로울까? 아니다. 참된 길은 거북하거나 괴로울 수 없다. 참되기 때문에 즐거우면서 기쁘며 반가운 길이다. 그렇지만 요즈음 사람들은 참된 길을 거북하거나 괴롭다고 여긴다. 왜 그러한가? 참이 무엇인지 모르고 길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참된 길조차 ‘찬성·반대’로 가르는 버릇이 생겨 ‘나한테 좋고·나한테 나쁘고’로 가르기 때문이다. 그 길이 옳고 바르다고 지식으로 알지만, 몸으로는 안 옳고 안 바른 쪽으로 가는 사람이 많은 까닭은, 참조차도 모르지만 옳음과 바름조차 모르기 때문이다. 옳고 바름을 살필 줄 아는 사람이라면 옳고 바른 길로 가야지, 그릇되거나 틀린 길로 갈 까닭이 없다. 저쪽이 낭떠러지인 줄 알면서도 낭떠러지로 그대로 나아가서 떨어지는 삶이 아름답거나 즐거울까? 낭떠러지가 아닌 길로 가야 아름답거나 즐겁지 않을까?


  우리는 누구나 참된 길로 가야 한다. 참된 길을 가면서, 삶을 즐기고 가꾸며 북돋우는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어떤 사람은 참된 길을 아주 씩씩하게 잘 나아가리라. 어떤 사람은 참된 길을 아주 천천히 느릿느릿 나아가리라. 빨리 간다고 더 낫지 않으며, 천천히 간다고 덜떨어지지 않는다. 스스로 삶을 아름답게 가꾸면서 나아가면 된다.


  곧, 우리는 참된 길로 가는 ‘실마리’를 스스로 ‘슬기’를 밝혀서 얻거나 찾아야 한다. 남이 하는 대로 꽁무니를 좇는 삶이 아니라, 스스로 몸과 마음에 알맞춤하도록 참된 길로 나아가는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살피면 된다.


  참된 길이 거북하거나 괴로운 까닭은, 스스로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안 찾기 때문이다. 즐겁게 참된 길로 가는 삶을 찾아야 한다. 남이 찾아 주지 않는다. 스스로 몸과 마음을 써서 찾아야 한다. 그런데, 학교교육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하도록 이끌지 못한다. 학교를 오래 다닌 사람일수록 시험성적 잘 받도록 하는 데에 익숙하지, 스스로 길을 찾아서 배우는 데에는 익숙하지 않다. 이러다 보니, 참된 길을 앞에 두고도 옳거니 그르거니 찬성·반대 싸움을 벌이다가 지쳐서 그만 참된 길이고 뭐고 안 쳐다보고 만다.


  참된 길이 아름다운 까닭은 참된 길이 즐겁기 때문이다. 참된 길이 즐거운 까닭은 참된 길이 사랑스럽기 때문이다. 참된 길이 사랑스러운 까닭은 참된 길로 걸어가는 동안 삶을 아름답게 가꿀 수 있기 때문이다. 4347.9.30.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폴 오스터 이야기책을 읽다가



  폴 오스터라는 분이 쓴 소설책은 한 권도 읽지 않았다. 나는 소설책은 거의 안 읽는다. 그러나 소설가이든 시인이든, 이런 사람들이 쓴 ‘수수한 글’, 이른바 산문책은 읽는다. 얼마 앞서 나온 폴 오스터 님 새로운 책은 이녁이 사람들과 만나서 들려준 ‘말’을 담는다.


  오늘부터 폴 오스터 님 어느 책을 손에 쥐어 읽다가 예순 쪽 남짓 읽을 무렵, 빙그레 웃음을 지을 만한 대목을 본다. 폴 오스터 님이 아직 이름을 얻거나 글삯을 넉넉히 벌지 못하던 때에는 ‘집세를 버는 글을 쓰거나 번역을 하느라’ 몹시 힘들었다고 한다.


  그렇다. 누구한테나 집세를 버는 일을 하기란 참으로 힘들다. 청소부로 일하든 공무원으로 일하든 의사로 일하든, 내 벌이 가운데 꽤 많은 몫을 집삯으로 내야 한다면 얼마나 고단할까? 참으로 벅차면서 괴로우리라. 나도 도시에서 살 적에는 집삯을 대느라 다달이 머리가 터지는 줄 알았다. 나는 도서관을 스스로 열어서 꾸리기도 했으니, 다달이 치러야 할 임대료는 집삯과 도서관삯으로 곱배기였다.


  글을 쓰건 청소부로 지내건 공무원이나 의사로 일하건 누구나 비슷하리라 느낀다. 집삯에서 홀가분할 수 있으면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든 참말 마음이 옭죄거나 얽매이지 않으리라 본다. 밥은 어떻게든 먹는다. 굶는 일은 없다. 밥은 어떻게든 즐겁게 먹으면서 아이들을 돌볼 수 있다. 골칫거리란 집삯이다. 집을 어디에서 어떻게 얻어야 할까? 우리는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 하나같이 도시로만 몰리고, 도시에서 나고 자라서 도시에서 지내며, 시골사람도 몽땅 도시로 내모는데, 앞으로도 이대로 모두 도시에서만 살려고 하면 집삯이라는 굴레는 더 커지기만 하리라 느낀다. 글을 쓰든 청소부로 지내든 공무원이나 의사로 일하든, 모름지기 시골에서 홀가분하게 살려고 하는 마음을 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궁금하다. 4347.9.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쓰는 김훈, 인간 전두환



  소설쓰는 김훈이기 앞서 신문기자 김훈일 적에 ‘인간 전두환 찬양’과 ‘대통령 전두환 찬양’을 한 해 동안 줄곧 써서 신문에 실었다고 하는 이야기를 오늘 처음 듣는다. 소설쓰는 김훈 님은 이러한 이야기를 열 몇 해 앞서 스스로 밝혔다. 여러 가지 이야기를 찾아보니, 소설쓰는 김훈 님은 1980년 언저리에 이녁이 쓴 글을 놓고 ‘딱히 잘못했다’고 느끼지 않는 듯하다. 그저 이녁이 걸어온 ‘글쟁이 한길’ 가운데 ‘그런 일도 있었다’ 하고 말하는구나 싶다.


  두 아이와 곁님이 먹을 아침을 차리다가, 살짝 밥짓기를 멈춘다. 전두환을 높이 우러르는 글을 쓴 일은 무엇인가? 잘못인가? 박근혜나 이명박을 높이 우러르는 글을 쓰면 무엇인가? 박정희를 높이 우러르는 글을 쓰면 무엇인가?


  소설쓰는 김훈 님은 이녁이 한 일을 스스럼없이 밝힌다. 떳떳하다거나 당차다고는 느끼지 않는다. 그냥 스스럼없을 뿐이다. 이녁이 바라보는 ‘여성’이나 ‘조선일보’나 ‘인종 차별’도 그저 이녁이 바라보는 눈길이요 생각일 뿐이다.


  다만, 나는 한 가지를 느낀다. 김훈이라고 하는 사람은 그저 ‘스스로 좋아하는 대로 살면서 글을 쓸’ 뿐이다. 그런데, 스스로 좋아하는 대로 살면서 글을 쓰다 보니, 때로는 지겹기도 하고 따분하기도 하며 힘들기도 하다. ‘좋아함’만 따르거나 좇기 때문이다. 얼마나 지겨울까? 밥벌이로 글을 쓰기도 지겨웠겠지만, 군사독재정권이 서슬퍼렇던 때에 전두환을 높이 우러르는 글을 쓰기도 얼마나 지겨웠을까? 이런 글을 더 쓰지 않는다면 ‘김훈이라는 사람이 스스로 생각을 고쳐먹었’기 때문에 더 안 쓴다고 느끼지 않는다. 그저 지겨우니까 안 쓸 뿐이다. 박정희를 우러르는 글을 안 쓴다고 할 적에도 그저 ‘쓰기 지겨우’니 안 쓸 뿐이리라. ‘인종차별’ 이야기를 글로 안 쓰는 까닭도, 굳이 그런 이야기를 글로 쓰기 지겨울 뿐이리라.


  전두환은 이녁이 어떤 짓을 했는지 스스로 모른다. 전두환은 이녁이 어떤 잘못을 저질렀는지 스스로 모른다. 아니, 전두환은 스스로 ‘잘못했다’는 생각조차 없다. 그러니 벌건 낮에도 술에 절어 주머니에 한푼 없다면서 거리낌없이 고개를 뻣뻣이 들고 산다.


  다시 말하자면, 소설쓰는 김훈이라는 사람이나 ‘인간 전두환’이라는 사람은 모두, 스스로 거듭나거나 발돋움할 마음이 없구나 싶다. 스스로 새롭게 눈을 뜨거나, 스스로 아름답게 삶을 꽃피우려는 마음이 없구나 싶다. 소설쓰는 김훈이라는 분한테 ‘전두환 찬양 기사를 쓴 지난날 이야기’가 이녁한테는 ‘새로운 글감’일 뿐일 테니, 어느 모로는 그악스럽고, 어느 모로는 불쌍하며, 어느 모로는 그냥 고개를 끄덕인다. 그렇구나. 그렇게 글을 쓰면서 스스로 지겨운 삶을 되풀이하는구나.


  다시 밥을 지어야겠다. 아침 열 시가 넘어간다. 4347.9.11.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명박과 우리 아버지



  조선일보와 티비조선만 보는 우리 아버지가 조선일보를 한참 뒤적이다가 이명박을 거친 말씨로 나무라신다. 나라를 말아먹은 나쁜 놈이라고 부아를 내신다. 조용히 아버지 말씀을 듣닌다. 나는 한 마디도 보태지 않는다.


  조선일보나 티비조선에서 이명박을 나무라나? 두 매체에서도 4대강이 얼마나 끔직한 짓이었는지 밝히나?


  그런데 아버지는 이명박을 찍었고, 나더러 이명박을 찍어야 나라가 산다고 예전에 말씀했다. 아버지는 예전에 어떤 말씀을 하셨는지 알까?


  아마 아버지는 박근혜를 찍으셨겠지. 나중에 박근혜가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나면 조선일보와 티비조선은 박근혜가 얼마나 끔직한 짓을 일삼았는지 밝힐까? 4347.9.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박씨 까기가 재미난 사람들



  서태지와 이지아 두 사람은 함께 살다가 갈라섰다. 그러고 나서 둘은 이 이야기를 바깥에 안 하기로 했다는데, 한쪽에서 다짐을 깼다. 퍽 오랫동안 법정 소송을 했다. 법정소송 끝에 두 사람은 서로를 깎아내리는 말뿐 아니라, 두 사람이 ‘함께 살다가 갈라선 이야기는 다시 안 하기’로 뜻을 모았다.


  서태지와 이지아 두 사람 사이에 법정소송이 마무리된 지 세 해가 흘렀다고 하는데, 법정소송에서 맺은 다짐을 또 한 사람이 깬다. 왜 깰까. 호박씨 까기가 재미나다고 여기기 때문일까. 이런 이야기를 방송에 나와서 들려주면 이녁한테 도움이 되기 때문일까.


  남 말을 할 일이란 없다. 스스로 즐거우면서 아름답게 살아가면 된다. 남 뒷이야기를 할 까닭이란 없다. 스스로 착하고 사랑스레 살아가면 된다. 방송국에서 ‘서태지와 얽힌 안 알려진 이야기’를 찍어서 시청율을 높이기를 바랄 수 있겠다고 느끼지만, 두 사람이 함께 지낸 나날이란 두 사람이 사랑으로 만난 삶이었을 텐데, 오늘 이곳에서 두 사람이 갈라서서 따로 제 길을 간다 하더라도, 서로서로 지킬 마음이 있다고 느낀다. 부디 착한 마음이 되고, 고운 마음이 되며, 서로를 아낄 수 있는 사랑을 가꾸기를 바란다. 호박씨는 이제 그만. 4347.8.1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람과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