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의 길 - 살림의 그물 10
고다니 준이치 지음, 홍순명 옮김 / 그물코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no.26869 [문화-환경] 농부의 길 (고다니 준이치)
name : 최종규    hits :1    / date : 2006.02.05 11:03:00 

- 책이름 : 농부의 길
- 글쓴이 : 고다니 준이치
- 옮긴이 : 홍순명
- 펴낸곳 : 그물코(2006.1.30.)
- 책값 : 8000원

 농사는 왜 짓나요? 밥먹으려고 짓지. 돈은 왜 버나요? 먹고살려고 벌지. 그러면 어떤 밥을 먹고 어떤 돈을 벌고 싶은가요? 맛있는 밥을 먹고 일해서 보람을 얻는 돈벌이를 해야지. 그렇지요? 그렇겠지요?


.. 만일 사람이 천년만년 죽지 않고 살아 있다면, 이기심과 탐욕의 덩어리가 되어 이 세상은 아수라 같은 지옥이 될 것입니다. 돈을 아무리 많이 쌓아 놓고 있어도 지위가 아득하게 높아도 엄숙한 `죽음'이 심판을 내릴 때, 돈과 지위가 대체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그야말로 티끌과 같습니다. 죽음으로도 사라지지 않는 것, 죽음으로도 부정할 수 없는 것, 우리는 목숨을 걸고 이것을 구해야 합니다 ..  〈39쪽〉


 《농부의 길》은 시골에 가서 농사꾼이 되어 농삿일을 잘하는 방법을 말하지 않습니다. 도시에서 도시사람으로 살든, 시골에서 시골사람으로 살든 `농사꾼 마음'이란 무엇인가를 차근차근 들려줄 뿐입니다. 바짓가랑이를 붙잡고 시골로 끌고온들 농사를 짓겠습니까. 드넓은 논밭이 주어진다고 해서 즐겁게 농사를 짓겠습니까. 로또복권에 1등으로 뽑혀서 억만금을 번다한들 옳은 곳에 선선히 돈을 쓰겠습니까. 과장이 되고 부장이 되고 사장이 된다한들 자기한테 주어진 직책과 힘을 여리고 고달픈 사람을 돌보고 감싸는 데에 쓰겠습니까.

 농사짓는 마음은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 마음이기도 하겠구나 싶습니다. 내 먹을 것을 짓는 한편, 이웃한테 나눠 줄 것을 짓는 농사입니다. 내 것으로 무엇을 더 가지려 하거나 삼으려 하지 않는 마음이기도 하지 싶습니다. 좀더 많이 거두려고 억지를 쓰면 땅심이 줄어서 이듬해에는 거의 못 거두기도 해요. 그래서 언제나 논밭 넓이와 모습에 따라 알맞게 지을 뿐입니다. 뿌린 대로 거둔다지요. 땅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지요. 우리가 땅을 더럽히면 땅에서 거두는 곡식도 더럽습니다. 우리가 땀을 흘리지 않으면 땅에서 거두는 곡식에도 쭉정이가 많습니다.

 농사를 짓는 농사꾼으로 살겠다면 무엇보다도 땅을 잘 알아야 하지만, 자기 자신도 잘 알아야 합니다. 농사꾼으로 살기는 어렵겠다면, 시골 아닌 도시에서 살더라도 참된 마음, 올곧은 자기 자신, 깨끗한 마음과 생각만큼은 추스르고 다스릴 수 있어야 좋습니다. 곡식농사를 짓지 않을 뿐이지, 사람농사를 지을 수 있고 책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공장에서 일하든 신문사에서 일하든 관공서에서 일하든 큰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일하든 `농사짓는 마음', 곧 자기 것을 더 욕심내어 챙기지 않으면서 함께 어울리고 나누는 마음,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을 가꾸고 다스리면서 올곧게 살아가는 몸가짐을 가꾸면 좋아요.

 나를 사랑하며 사람을 사랑하고, 사람을 사랑하면서 뭇목숨과 땅과 해와 물과 바람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자연과 뭇목숨을 사랑하면서 사람을 더 그윽히 사랑할 수 있고, 사람사회를 사랑하면서 자기 자신을 더 깊이 사랑할 수 있습니다. 같이 가려는 마음, 어깨동무하려는 마음을 말하고 가르치고 배우고 즐길 수 있으면 좋겠다고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태적 경제기적 - 프란츠 알트의
프란츠 알트 지음, 박진희 옮김 / 양문 / 2004년 3월
평점 :
품절



- 책이름 : 생태적 경제기적
- 글쓴이 : 프란츠 알트
- 옮긴이 : 박진희
- 펴낸곳 : 양문(2004.3.25.)
- 책값 : 9000원

 아직 우리 나라는 공장을 더 세우고 물건을 더 많이 만들어서 경제성장률이 올라가야 사람들이 잘살 수 있다는 뜬구름 같은 꿈을 좇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이런 이야기를 날이면 날마다 외치고 찌라시만도 안 되는 언론도 오히려 이런 목소리를 더 부추깁니다. 그러면 우리들이라도 이런 목소리에 담긴 참과 거짓을 가려내야 할 텐데, 다들 눈이 멀었는지 돈, 돈, 돈에만 달려들려고 합니다.


.. 우리 자식들과 손자들은 우리가 연금을 80마르크나 100마르크 더 받거나 덜 받는 것을 가지고 우리를 평가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우리가 그들에게 맑은 물, 건강한 땅, 그리고 깨끗한 공기를 물려주는 것을 가지고 우리를 평가할 것이다 ..  〈33쪽〉


 제아무리 돈을 많이 벌고 큰집에서 아무 걱정 없이(?) 산다고 해도 숨쉴 공기가 없다면, 마실 물이 없다면 어떡할까요? 공기와 물도 다 다른나라에서 사오면 될까요? 병원에서 모든 병을 다스려 주는가요? 우리한테 정작 있어야 할 것, 정작 우리가 생각하고 살필 일은 어디에, 어느 곳에, 어느 쪽에 있을까요?

 《생태적 경제기적》은 기업가와 정부뿐 아니라 노동자인 우리 자신도 생각을 고쳐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우리가 가장 눈길을 둘 일은 무엇이며, 어떤 일을 어떻게 하면서 살아가야 좋은가를 하나하나 짚어 가면서 이야기합니다. 얼추 살피니 나라나 노동조합 같은 곳에서 정책으로 밀어붙일 이야기도 다루는데, 이런 이야기들을 우리들도 잘 살피고 헤아리면서 `다 함께 하면 좋을 일'을 찾고, 우리가 저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도 느끼고 배울 수 있습니다. 번역만 좀 깔끔했다면 별 다섯을 주고도 싶건만... 번역 때문에 별 넷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늦어도 괜찮아 막내 황조롱이야 - 우리어린이 자연그림책, 도시 속 생명 이야기 2
이태수 지음 / 우리교육 / 200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 책이름 : 늦어도 괜찮아 막내 황조롱이야
- 글/그림 : 이태수
- 펴낸곳 : 우리교육(2005.9.30)
- 책값 : 9800원


 우리들 사람도 자연 가운데 하나입니다. 자연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있지, 사람만 달랑 있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과학자는 자연을 사람힘으로 다스리려고 애를 쓰고, 어떤 과학자는 자연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사람끼리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려고도 합니다.

 제가 죽은 뒤에는 이 세상이 어떻게 달라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제가 살아 있는 동안에도 세상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죽지 않고 언제까지나 살' 수도 있습니다. 무슨 약을 먹는다면 말이지요. 그래, 이럴 때, 죽지 않고 언제까지나 살 수 있다는 약이 있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는 예전에, 그러니까 이제 갓 열 살 남짓 할 만큼 어릴 적에 `죽지 않고 언제까지나 살 수 있는 약'을 만들거나 찾고 싶다고 꿈꾸었습니다. 중국 아무개 왕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1000년을 살고 1만 년을 살면 무엇무엇을 해야지… 하고도 꿈꾸었고 돈을 어마어마하게 벌어서 무엇무엇을 해야지… 하는 꿈도 꾸었습니다.

 언뜻 보면 부질없는 헛꿈이지만, 달리 생각하면 철없는 사람으로서 품음직한 꿈이기도 하지 싶습니다. 아무튼, 이런 마음, 나 혼자 안 죽고 언제까지나 살고 싶다는 마음은 내 자신을 `자연 가운데 하나'라고 느끼지 않는 마음입니다. 그래서 이런 마음으로 살아갈 때는 이웃이나 동무나 식구를 제대로 거들떠보지 못하기 일쑤입니다. 살려면 같이 살아야지, 나 혼자만 안 죽으면 되나요? 이리하여 이제는 죽음을 꿈꿉니다. 너무 오래 살지 말자고, 일찌감치 죽자고 말입니다. 그러다가 어느 날부터인가 `살 만큼만 살자. 더도 덜도 말고 나한테 주어진 만큼 살자'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군말이 길었습니다. 하지만 군소리 좀 늘어놓고 싶었습니다. 그림책 《늦어도 괜찮아 막내 황조롱이야》를 이야기하자니 이런 군소리가 없고는 도무지 이 책 이야기를 못할 것 같았어요. 이 그림책은 아파트로 숲을 이룬 어느 도심지 툇마루 창가에 둥지를 튼 황조롱이 이야기를 다룹니다. 이 황조롱이 식구는 어쩌다가 아파트숲에서도 그림을 그리는 사람 집 툇마루 창가에 둥지를 틀었고, 마침 그 그림쟁이는 이런 새나 벌레나 꽃이나 나무를 찬찬히 그림으로 담아내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래, 실제로 자기가 보고 겪은 황조롱이 식구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담았어요.

 풀이나 나무라고는 아파트를 새로 지을 때 돈 주고 옮겨다 심은 것밖에 없는 곳에서,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흙이고 땅이고 다 뒤덮은 곳에서, 나뭇가지 하나, 먹잇감 하나 찾기 어려운 그 아파트숲에서 황조롱이는 새끼를 치고 길러냅니다. 그리곤 떠나지요.

 사람만 살겠다고 만든 아파트숲입니다. 그런데 이런 아파트숲 한켠에 어렵사리 자리를 얻어서 사는 `사람 아닌 목숨', 사람과 똑같이 `자연 가운데 하나'인 목숨이 있습니다. 이 짐승들 목숨은 우리 사람 목숨하고 저울로 달았을 때 어느 쪽이 더 무겁게 나올까요? 어느 쪽으로 기울어질까요?

 글쎄, 잘 모르겠지만 둘 모두 똑같지 않을까요? 누가 더 소중하고 덜 소중할 것 없이 말입니다. 아파트 툇마루 창가에 비둘기가 둥지를 틀었든 참새가 둥지를 틀었든 마찬가지입니다. 모두 똑같이 소중한 새입니다. 그 새 가운데 비둘기가 `닭'처럼, 아니 `사람이 고기닭으로 길들여 버린 그 닭'처럼 바닥에 떨어진 모이만 찾아 먹는다고 해도 똑같이 소중한 새입니다. 일자리와 잘곳을 잃은 한뎃잠이가 길바닥에서 뒹굴어도 모두모두 똑같이 소중한 사람이듯 말입니다.

 그림책 《늦어도 괜찮아 막내 황조롱이야》를 즐기면서 우리들 사람 목숨, 자연 목숨, 사람 삶터, 자연 삶터를 차분하게 돌아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 세상이 사람만 살아도 좋은 세상인지, 사람이 자연과 함께 오순도순 지내면 좋은 세상인지 느긋하게 되새기면서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 - 풀뿌리가 희망이다
KYC.시민의신문 엮음 / 시금치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이름 : 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
- 엮은이 : 한국청년연합회, 시민의신문
- 펴낸곳 : 시금치(2005.2.1.)
- 책값 : 6000원

 `도시에서도 숨쉴 구멍을 찾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품는 분이 많습니다. 저도 이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바닷가마을 인천(흔히 인천을 도시라고만 말하는 분이 많지만, 적잖은 사람은 `도시' 인천이 아닌 `바닷가' 인천에서 태어나 자랐고 살았습니다. 도시라기보다는 시골 읍내 만한 바닷가라고 할까요?)에서 태어나 자란 뒤 서울에 와서 꼭 열 해를 살며 이 물음을 풀려고 애썼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더 물음을 품지 않기로 다짐했습니다. 서울을 떠나기로 했습니다. 시골로 살림을 옮겼어요. 하지만 시골에서는 책방 나들이가 어려워 틈틈이 서울에 가서 헌책방 나들이를 하고 서울에서도 조금은 변두리라 할 만한 동네책방에 새책을 주문해서 받아 보고 있습니다. 저한테 시골살이가 어렵다면 오로지 이 하나, 가붓한 마음으로 나들이를 떠나서 느긋하게 즐길 만한 책방이 없다는 문제 하나가 있습니다.


.. 올해는 일단 많이 모임을 더 늘려가는 것이 목표지만, 더 나아가 지역 교육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서 나름대로의 실천을 벌일 계획도 이씨는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쓸만한 어린이도서관을 만드는 것. 제대로 된 도서관은 없는데도 주거지역 바로 옆에 골프장이 들어선단다. 물론, 바로 이들 주부모임이 골프장 반대운동에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 이씨의 생각이다 ..  〈24쪽〉


 사람은 자기 삶터를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가 살아가는 삶터가 사람을 만듭니다. 스스로 자기 몸과 마음을 잘 추스르는 분들은 둘레가 어떻게 돌아간다 하더라도 곧게 자기 길을 걷겠지만, 이런 분들도 훨씬 나은 삶터에서 산다면 더욱 훌륭하고 아름답게 살 수 있겠지요. 게다가 아주 많은 사람들은 삶터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사람이 자기 삶터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힘든 일입니다. 어설피 삶터를 바꾸려 하다가 크게 화풀이를 입기도 하고요(수많은 자연 재앙과 날씨 달라짐 들).

 이래서 저는 한 사람이라도 더 도시를 떠나서 시골에서 자기 살림을 꾸릴 수 있어야 한다고 믿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시골에서 살려면 돈이 있어야…' 하는 분이 많습니다. 그것은 서울 같은 도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돈이 좀더 있으면 하고픈 일을 더 많이 할 수도 있겠지요. 책도 더 많이 살 수 있고요. 하지만 책 10권 살 수 있는 돈을 벌든 11권 살 수 있는 돈을 벌든, 또 100권 살 수 있는 돈을 벌든 다를 것이란 한 가지입니다. 자기가 산 책을 얼마나 즐겁게 속깊이 읽고 받아들여서 실천을 하느냐. 책을 아무리 많이 살 수 있어도 제대로 즐기지 못하면 도루묵이에요. 꽝입니다. 시골살림도 마찬가지입니다. 돈 좀 더 벌어서 논밭을 더 많이 살 수 있으면 무엇하나요? 좀더 편의시설 많이 갖춘 집을 지으면 무엇하나요? 자기가 깃들 삶터(시골)에 마음을 붙이면서 자연 삶터를 온몸과 온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면 시골살이는 할 수 없습니다.

 《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에서 말하는 `희망찾기'는 도시에서도 `시골살이'를 하는 듯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람들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질을 더 누리면서 쓰려는 몸가짐이 아니라 `다시 쓰고 아껴 쓰고 함께 나누어 쓸' 줄 아는 몸가짐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성적과 시험점수에 매인 채 일류 대학교라는 곳에 들어가 남을 밟고 올라서는 제도권입시교육에 매이는 도시 삶이 아니라, 배운 것을 나누면서 오순도순 살아가는 참맛을 느끼도록 힘쓰자는 사람들 이야기예요. 먹을거리든 입을거리든 쓸거리든 마찬가지입니다. `나 혼자 쓰기'가 아닌 `다 함께 쓰기'를 생각하는 마음이 어우러져서 도시에서도 `희망공동체'를 찾거나 만들게 됩니다. 그래, 도시에서도 시골살이를 하듯 나누고 함께하는 마음이라면 희망을 찾기는 찾겠지요. 하지만 `스스로 만들지' 못하거나 않는 가운데 `쓰는 희망'만을 말한다면 한계가 있습니다. 아직은 `쓰기만 하는 희망'이니 어쩔 수 없다고도 말하겠지만, 차츰차츰 `만드는 희망'으로도 거듭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때는 도시와 시골로 나눌 것도 없이 `사람 삶터'가 되는 `희망공동체'가 될 테지요. "풀뿌리가 희망이다" 하는 작은이름을 붙인 이 책은 아직은 `도시 속'에서 찾는 희망이지만, 앞으로는 도시와 시골을 넘어선 희망을 찾으려는 첫걸음을 보여주는 책일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나귀님님의 "자연을 지키는 것과, 자연에서 살아가는 것.."

지율 스님은 어떤 흔들림없이 튼튼한 생각과 철학을 갖춘 사람이 아니라 비구니 가운데 한 사람일 뿐이라고 보아야 좋지 싶습니다. 아직 튼튼한 생각과 철학이 없지만, 차츰차츰 자기 생각과 철학을 가다듬어 나가는 가운데 `고속철도와 자연과 우리 삶'이라는 화두를 보았고, 그 화두를 보았기에 자기 길을 거기에 맞추었겠지요. 자기 화두를 풀 실마리를 어렵사리 대화로 정부와 타협을 했지만, 정부가 여러 차례에 걸쳐서 자꾸 약속을 깼고, 이에 크게 실망하고 아무 힘도 없게 된 지율 스님으로서는 어쩌면 집권자가 바라는 대로 `죽어' 주려고 몸을 숨긴 채 기나긴 단식을 했겠구나 싶습니다. 지율 스님은 청와대와 정부기간원이 보호대상자로 점찍고 뒷간엔 언제 가고 뭘 하고 누굴 만나고 무슨 얘기를 하는지까지 하나하나 감시를 받는 생활을 해 왔습니다. 이런 형편이었을 때 웬델 베리란 분은 그 나름대로 다른 풀이법을 찾았을 테지요. 사람과 자연이 같이 어우러지면서, 사람은 사람 나름대로 자연을 쓰면 좋지만, `사람 나름대로 쓰는 것이 아닌 문제' 앞에서는 무언가 움직임을 보일 수 있겠지요. 폭력저항이든 비폭력저항이든지요. 간디든 말콤엑스든 킹 목사든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