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 - 풀뿌리가 희망이다
KYC.시민의신문 엮음 / 시금치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이름 : 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
- 엮은이 : 한국청년연합회, 시민의신문
- 펴낸곳 : 시금치(2005.2.1.)
- 책값 : 6000원

 `도시에서도 숨쉴 구멍을 찾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품는 분이 많습니다. 저도 이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바닷가마을 인천(흔히 인천을 도시라고만 말하는 분이 많지만, 적잖은 사람은 `도시' 인천이 아닌 `바닷가' 인천에서 태어나 자랐고 살았습니다. 도시라기보다는 시골 읍내 만한 바닷가라고 할까요?)에서 태어나 자란 뒤 서울에 와서 꼭 열 해를 살며 이 물음을 풀려고 애썼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더 물음을 품지 않기로 다짐했습니다. 서울을 떠나기로 했습니다. 시골로 살림을 옮겼어요. 하지만 시골에서는 책방 나들이가 어려워 틈틈이 서울에 가서 헌책방 나들이를 하고 서울에서도 조금은 변두리라 할 만한 동네책방에 새책을 주문해서 받아 보고 있습니다. 저한테 시골살이가 어렵다면 오로지 이 하나, 가붓한 마음으로 나들이를 떠나서 느긋하게 즐길 만한 책방이 없다는 문제 하나가 있습니다.


.. 올해는 일단 많이 모임을 더 늘려가는 것이 목표지만, 더 나아가 지역 교육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서 나름대로의 실천을 벌일 계획도 이씨는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쓸만한 어린이도서관을 만드는 것. 제대로 된 도서관은 없는데도 주거지역 바로 옆에 골프장이 들어선단다. 물론, 바로 이들 주부모임이 골프장 반대운동에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 이씨의 생각이다 ..  〈24쪽〉


 사람은 자기 삶터를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가 살아가는 삶터가 사람을 만듭니다. 스스로 자기 몸과 마음을 잘 추스르는 분들은 둘레가 어떻게 돌아간다 하더라도 곧게 자기 길을 걷겠지만, 이런 분들도 훨씬 나은 삶터에서 산다면 더욱 훌륭하고 아름답게 살 수 있겠지요. 게다가 아주 많은 사람들은 삶터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사람이 자기 삶터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힘든 일입니다. 어설피 삶터를 바꾸려 하다가 크게 화풀이를 입기도 하고요(수많은 자연 재앙과 날씨 달라짐 들).

 이래서 저는 한 사람이라도 더 도시를 떠나서 시골에서 자기 살림을 꾸릴 수 있어야 한다고 믿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시골에서 살려면 돈이 있어야…' 하는 분이 많습니다. 그것은 서울 같은 도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돈이 좀더 있으면 하고픈 일을 더 많이 할 수도 있겠지요. 책도 더 많이 살 수 있고요. 하지만 책 10권 살 수 있는 돈을 벌든 11권 살 수 있는 돈을 벌든, 또 100권 살 수 있는 돈을 벌든 다를 것이란 한 가지입니다. 자기가 산 책을 얼마나 즐겁게 속깊이 읽고 받아들여서 실천을 하느냐. 책을 아무리 많이 살 수 있어도 제대로 즐기지 못하면 도루묵이에요. 꽝입니다. 시골살림도 마찬가지입니다. 돈 좀 더 벌어서 논밭을 더 많이 살 수 있으면 무엇하나요? 좀더 편의시설 많이 갖춘 집을 지으면 무엇하나요? 자기가 깃들 삶터(시골)에 마음을 붙이면서 자연 삶터를 온몸과 온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면 시골살이는 할 수 없습니다.

 《도시 속 희망공동체 11곳》에서 말하는 `희망찾기'는 도시에서도 `시골살이'를 하는 듯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람들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질을 더 누리면서 쓰려는 몸가짐이 아니라 `다시 쓰고 아껴 쓰고 함께 나누어 쓸' 줄 아는 몸가짐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성적과 시험점수에 매인 채 일류 대학교라는 곳에 들어가 남을 밟고 올라서는 제도권입시교육에 매이는 도시 삶이 아니라, 배운 것을 나누면서 오순도순 살아가는 참맛을 느끼도록 힘쓰자는 사람들 이야기예요. 먹을거리든 입을거리든 쓸거리든 마찬가지입니다. `나 혼자 쓰기'가 아닌 `다 함께 쓰기'를 생각하는 마음이 어우러져서 도시에서도 `희망공동체'를 찾거나 만들게 됩니다. 그래, 도시에서도 시골살이를 하듯 나누고 함께하는 마음이라면 희망을 찾기는 찾겠지요. 하지만 `스스로 만들지' 못하거나 않는 가운데 `쓰는 희망'만을 말한다면 한계가 있습니다. 아직은 `쓰기만 하는 희망'이니 어쩔 수 없다고도 말하겠지만, 차츰차츰 `만드는 희망'으로도 거듭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때는 도시와 시골로 나눌 것도 없이 `사람 삶터'가 되는 `희망공동체'가 될 테지요. "풀뿌리가 희망이다" 하는 작은이름을 붙인 이 책은 아직은 `도시 속'에서 찾는 희망이지만, 앞으로는 도시와 시골을 넘어선 희망을 찾으려는 첫걸음을 보여주는 책일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