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혈전 血栓


 출혈인지 혈전인지 → 피나는지 핏뭉치인지


  ‘혈전(血栓)’은 “[생명] 생물체의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서 된 조그마한 핏덩이”를 가리킨다는군요. ‘핏덩이·핏덩어리’나 ‘핏더미·핏뭉치’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임신중에는 피가 응고되기 쉬운 경향이 있어서 혈전이 생길 수도 있어요

→ 아기를 배면 피가 굳기 쉬워서 핏덩이가 생길 수도 있어요

→ 아기가 서면 피가 굳기 쉬워서 핏더미가 생길 수도 있어요

《투명한 요람 5》(오키타 밧카/서현아 옮김, 문학동네, 2024) 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군사독재·군부독재·군사정권·군부정권



 군사독재 수립에 일조한 집단이다 → 얼음나라에 이바지한 무리이다

 군부독재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하여 → 망나니 찌꺼기를 씻고자

 군사정권에 반대하여 봉기하였다 → 재갈나라에 맞서 일어섰다

 군사독재에 치를 떤다 → 가시덤불에 이를 떤다 / 얼음나라에 이를 떤다


군사독재(軍事獨裁) : [정치] 군부가 국가 권력을 도맡아서 강압적으로 다스리는 일 = 군부독재

군부독재(軍部獨裁) : [정치] 군부가 국가 권력을 도맡아서 강압적으로 다스리는 일 ≒ 군사독재

군사정권(軍事政權) : [군사] 군인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정권. 쿠데타 따위의 불법적인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예가 많다

군부정권 : x



  총과 칼로 억누르거나 짓밟으면서 사람들을 괴롭히는 몹쓸 나라가 있습니다. ‘총칼수렁·총칼굴레·총칼나라’에 ‘총칼누리·총칼틀·총칼길·총칼질’입니다. 이런 나라는 칼을 마구 휘두르지요. ‘칼나라·칼누리·칼굴레·칼수렁’입니다. 이런 곳은 그야말로 꽉 막히고 닫히면서 사람들을 가둡니다. ‘수렁·닫힌터·날개꺾다·덜먹다’에 ‘언땅·언나라·얼음땅·얼음나라’입니다. 지난날 ‘망나니·만무방·망탕·막나가다·막놈’과 ‘마구잡이·마구나라·막되다·막짓·막터’를 치워냈다면, 오늘날에도 ‘재갈나라·재갈질·차꼬나라·차꼬질’이 아닌, ‘틀어막다·휘두르다·억누르다·누르다’가 아닌, ‘짓누르다·짓밟다·짓뭉개다·짓이기다’가 아닌, 어우르고 아우르며 어깨동무하는 길을 걸어야지 싶습니다. ‘힘질·힘꼴·힘짓’은 걷어내어요. ‘호로놈·후레새끼·후레놈·후레질·후레짓’도 달래요. ‘꽁·담·담벼락·돌담·돌담벼락·돌울·돌울타리’는 허물고서, ‘가시울·가시울타리·가시담·가시담벼락·가시덤불’도 싹 치울 줄 아는 사랑으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지금까지 군사독재가 국민에게 세뇌했던 잘못된 사고를 뿌리뽑는

→ 이제까지 총칼나라가 우리를 길들인 잘못된 얼개를 뿌리뽑는

→ 여태까지 얼음나라가 사람들을 길들인 잘못된 틀을 뿌리뽑는

《선택》(새로운인간 기획실, 한마당, 1987) 26쪽


군사 정부에 의한 검열로 인해

→ 총칼나라가 쑤석거려서

→ 재갈나라가 들쑤셔서

→ 칼나라가 가위질을 해서

《꺼벙이로 웃다, 순악질 여사로 살다》(박인하, 하늘아래, 2002) 94쪽


국회는 군사독재정권과 유착되었던 반민주세력이 그대로 점령하고 있었고

→ 나라모임은 총칼나라에 빌붙던 고약한 무리가 그대로 차지하였고 

→ 나라길은 얼음나라에 들러붙던 시커먼 떼거리가 그대로 쥐었고

《역사가의 시간》(강만길, 창비, 2010) 512쪽


김대중이 군사독재 아래서 “경제성장의 열매는 이들과 결탁한 소수 특권층에 의해 거의 독점되어 왔으며 노동자·농민들은 성장의 결실 배분에 참여하는 것으로부터 배제되어 왔다”고 주장했지만

→ 김대중이 언땅에서 “나라살림이란 열매는 나라와 손잡은 몇몇끼리 거의 거머쥐었고 일꾼과 흙지기는 살림열매를 나누어 받지 못해 왔다”고 외쳤지만

《그대 무엇을 위해 억척같이 살고 있는가?》(손석춘, 철수와영희, 2012) 76쪽


악마적이리만치 추악한 군사정권

→ 끔찍하리만치 더러운 가시울

→ 소름돋도록 더러운 마구나라

→ 사납도록 지저분한 얼음나라

《재일의 틈새에서》(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 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산상수훈



 산상수훈을 통하여 전달한 의미는 → 멧숲말씀으로 들려주는 뜻은

 산상수훈의 내용을 요약하면 → 멧빛말씀을 간추리면


산상수훈(山上垂訓) : [기독교]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기술되어 있다 ≒ 산상보훈·산상설교



  멧숲에 깃들어서 들려준 말씀이 있다지요. ‘멧숲말씀’입니다. 메와 숲을 품은 푸른별에서 사랑을 펴는 살림을 일구는 길을 밝히고 알려주는 말씀입니다. 메처럼 높고 숲처럼 너른 넋으로 온누리 모든 숨결을 사랑으로 돌아보면서 살아가는 길을 밝히고 알려주는 말씀이기에 ‘멧빛말씀’이라고 할 만합니다. 어느 곳에 서서 어떻게 들려주는 말씀인지 돌아봅니다. 이 땅과 이 별을 헤아리는 사랑에 흐르는 마음을 되새깁니다. ㅅㄴㄹ



산상수훈 첫 번째 복음이 바로 ‘가난한 자의 복’입니다. 저는 이 말씀이 첫 번째인 이유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메시지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 멧숲말씀 첫째가 바로 ‘가난한 기쁨’입니다. 저는 이 말씀이 첫째인 까닭이 사람한테 가장 빛나는 말씀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 멧빛말씀 첫째가 바로 ‘가난한 노래’입니다. 저는 이 말씀이 첫째인 까닭이 사람한테 가장 눈부신 말씀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이충렬, 산처럼, 2018) 1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정상참작



 정상참작을 감안하더라도 → 보아주더라도 / 헤아려 보더라도

 정상참작이 가능할 수 있다 → 살펴볼 수 있다 / 눈감아줄 수 있다


정상참작(情狀參酌) : [법률]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형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 유서감경·작량감경·정상작량



  너그러이 보려고 할 적에는 ‘봐주다·보아주다’라 합니다. 일본말씨로 ‘정상참작’이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헤아리다’나 ‘살피다·살펴보다·살펴주다’라 할 만하고, ‘눈감다·눈감아주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정상참작의 여지가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크게 봐줄 만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크게 살필 만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불꽃 소방대 2》(오쿠보 아츠시/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16) 75쪽


조금은 정상참작 해줄지도 몰라요

→ 조금은 헤아려 줄지도 몰라요

→ 조금은 보아줄지도 몰라요

→ 조금은 살펴줄지도 몰라요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한도의 생활 2》(가시와기 하루코/고현진 옮김, 문학동네, 2024) 1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대설주의보



 대설주의보가 발령되었다 → 눈벼락을 알린다

 지금 대설주의보가 발효 중인데 → 이제 함박눈이라고 하는데

 금일로 대설주의보가 해제된다 → 오늘로 눈벼락이 풀린다


대설주의보(大雪注意報) : [지구] 눈이 많이 내려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함을 알리는 기상 주의보. 스물네 시간 동안 5cm 이상의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될 때 발표한다



  눈이 많이 내린다면 ‘눈바람·눈보라’라 합니다. ‘눈벼락·벼락눈’이라고도 합니다. “눈이 무너지다·눈이 쏟아지다·눈이 쓸리다”라 할 만하고, ‘함박눈·함박눈벼락·큰눈·큰눈벼락’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소나기눈·소낙눈·소낙눈벼락’이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혹자는 대설주의보라 했고 잽싸게 그걸 싸고 그걸 닦은 증거라고도 말했으며

→ 누구는 눈벼락이라 했고 잽싸게 싸고 닦은 티라고도 말했으며

→ 누구는 함박눈이라 했고 잽싸게 싸고 닦은 자국이라고도 말했으며

《아름답고 쓸모없기를》(김민정, 문학동네, 2016) 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