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가설 假說


 가설을 검증하다 → 어림치를 살피다

 가설을 정립하다 → 생각을 세우다


  ‘가설(假說)’은 “1. [철학] 어떤 사실을 설명하거나 어떤 이론 체계를 연역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정. 이로부터 이론적으로 도출된 결과가 관찰이나 실험에 의하여 검증되면, 가설의 위치를 벗어나 일정한 한계 안에서 타당한 진리가 된다 2. [사회 일반] 사회 조사나 연구에서, 주어진 연구 문제에 대한 예측적 해답. 두 개의 변인이나 그 이상의 변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추정적 또는 가정적 서술문(敍述文)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처럼 풀이하는데, ‘꼽다·미루다·미루어보다·짚다·치다’나 ‘어림·어림하다·어림잡다·얼추·얼추잡다’로 고쳐씁니다. ‘-려면·-자면’이나 ‘주먹셈·짐짓·믿다·여기다’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보다·생각·셈’이나 ‘얘기·이야기’로 고쳐쓸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가설’을 넷 더 싣지만 다 털어냅니다. ㅅㄴㄹ



가설(加設) : 1. 덧붙이거나 추가하여 설치함 2. 관직을 임시로 더 늘림

가설(架設) : 전깃줄이나 전화선, 교량 따위를 공중에 건너질러 설치함

가설(假設) : 1. 임시로 설치함 ≒ 권설 2. 실제로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침

가설(街說) : 1. 길거리에 떠도는 말이나 화젯거리 = 가담 2. 세상의 평판



이유를 알기 위해 크게 네 가지 가설을 가지고 접근했다

→ 까닭을 알려고 크게 네 가지를 꼽으며 살폈다

→ 왜 그런지 알려고 네 가지를 어림하며 보았다

《물 속을 나는 새》(이원영, 사이언스북스, 2018) 88쪽


온갖 가설들이 세워졌으며

→ 온갖 생각이 섰으며

→ 온갖 이야기가 섰으며

《마음의 요가》(스와미 비베카난다/김성환 옮김, 판미동, 2020) 29쪽


희선의 첫 번째 가설은 틀렸다

→ 희선이 첫 얘기는 틀렸다

→ 희선이 첫 생각은 틀렸다

《녹색 인간》(신양진, 별숲, 2020) 53쪽


곰이 생각해낸 가설이 있습니다

→ 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 곰이 미루어 보았습니다

《꼬마곰의 케이크 가게 5》(카멘토츠/박정원 옮김, 디앤씨미디어, 2021)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비장 秘藏


 비장의 솜씨를 발휘하다 → 꽃솜씨를 내다 / 끝재주를 부리다

 드디어 비장의 무기를 사용할 기회가 왔다 → 드디어 끛솜씨를 쓸 때가 왔다

 장롱 속에 비장된 → 옷칸에 숨긴

 근처 바위 틈에 비장해 놓고 → 가까운 바위큼에 감춰 놓고


  ‘비장(秘藏)’은 “남이 모르게 감추어 두거나 소중히 간직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가리다·감추다’나 ‘숨다·숨기다’로 손질합니다. ‘놀랍다·마지막·끝’으로 손질하고, ‘꽃솜씨·꽃재주’나 ‘끝솜씨·끝재주’로 손질할 만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비장’을 일곱 가지 더 실으나 몽땅 털어냅니다. ㅅㄴㄹ



비장(肥壯) : 몸집이 크고 힘이 셈

비장(備藏) : 두루 갖추어서 간직하거나 감추어 둠

비장(?腸) : [의학] ‘장딴지’를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비장(脾臟) : [생명] 척추동물의 림프 계통 기관

비장(裨將) : [역사] 조선 시대에, 감사(監司)·유수(留守)·병사(兵使)·수사(水使)·견외 사신(使臣)을 따라다니며 일을 돕던 무관

비장(鄙莊) : 자기 소유의 논밭을 낮추어 이르는 말

비장(臂章) : 제복의 소매에 붙이는 휘장



내 신이 오자 나는 연습에선 전혀 보여주지 않았던 비장의 연기를 쏟아냈다

→ 내 때가 오자 나는 여태 조금도 보여주지 않던 숨은 솜씨를 쏟아냈다

→ 내 몫이 오자 나는 몸풀이에선 꽁꽁 감췄던 꽃솜씨를 쏟아냈다

《그리운 것은 말하지 않겠다》(김수미, 샘터, 1987) 180쪽


그리고 비장의 벌레 퇴치 마법 주스를 마구 뿌렸지

→ 그리고 숨겨둔 벌레 쫓는 꽃물을 마구 뿌렸지

→ 그리고 마지막으로 벌레 쫓는 꽃물을 마구 뿌렸지

《우리 마당으로 놀러 와》(문영미·조미자, 우리교육, 2007) 34쪽


비장의 무술을 수련한 ‘무서운 가족’쯤으로 취급하는 것 같아 별로 유쾌하지 않았다

→ 숨은 주먹솜씨를 익힌 ‘무서운 집’쯤으로 다루는 듯해 그리 즐겁지 않았다

→ 갈고닦은 주먹을 감춘 ‘무서운 집안’쯤으로 여기는 듯해 썩 달갑지 않았다

→ 무시무시한 싸움길을 익힌 ‘무서운 사람들’로 보는 듯해 꽤 반갑지 않았다

《열다섯 살 하영이의 스웨덴 학교 이야기》(이하영, 양철북, 2008) 217쪽


이온한테도 가르쳐 줄게. 내 비장의 수화. 나는·당신을·좋아·해요

→ 이온한테도 가르쳐 줄게. 숨겨 둔 손말. 나는·당신을·좋아·해요

→ 이온한테도 가르쳐 줄게. 내 깜짝 손말. 나는·당신을·좋아·해요

《이치고다 씨 이야기 1》(오자와 마리/정효진 옮김, 학산문화사, 2010) 54쪽


너 사쿠마 교수님 비장의 카드라며?

→ 너 사쿠마 스승님 숨은빛이라며?

→ 너 사쿠마 님이 감춘 끗이라며?

《백귀야행 23》(이마 이치코/한나리 옮김, 시공사, 2015) 29쪽


우리 집에 있는 할아버지의 비장의 돌을 보여주기로 약속했는데

→ 우리 집에 숨겨 놓은 할아버지 돌을 보여주기로 다짐했는데

→ 우리 집에 있는 엄청난 할아버지 돌을 보여주기로 했는데

《전당포 시노부의 보석상자 3》(니노미야 토모코/이지혜 옮김, 대원씨아이, 2017) 17쪽


비장의 패를 쓰게 해주세요

→ 숨겨둔 끗을 쓰게 해주세요

→ 감춘 재주를 쓰게 해주세요

→ 끝솜씨를 쓰게 해주세요

《메이저 세컨드 6》(미츠다 타쿠야/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17) 98쪽


열섬 현상을 해소할 비장의 카드로 주목을 받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 후끈섬을 풀어낼 숨은길로 알려지기 앞서였기 때문에

→ 더위섬을 풀어낼 멋진 꾀로 눈길을 받을 즈음이기 때문에

《황야의 헌책방》(모리오카 요시유키/송태욱 옮김, 한뼘책방, 2018) 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지능적


 지능적 활동 → 똑똑한 짓

 지능적인 수법 → 놀라운 꾀

 지능적인 전략 → 뛰어난 셈속

 내 딴에는 지능적으로 → 내 딴에는 머리 써서

 지능적으로 내 꾐을 피했다 → 용케 내 꾐을 벗어난다


  ‘지능적(知能的)’은 “계산이나 문장 작성 따위의 지적 작업에서, 성취 정도에 따라 정하여지는 적응 능력이 있는”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머리’나 “머리가 좋다”나 ‘똑똑하다·잘하다·잔나비’로 손봅니다. ‘솜씨·솜씨있다·손살림·손빛’으로 손보고, ‘손멋·손맛·손회목·팔회목’로도 손보고요. ‘재주·재주있다’나 ‘놀랍다·대단하다·빼어나다·뛰어나다’로 손볼 만하고, ‘엄청나다·훌륭하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멋지다·꽃·빛나다·빛’이나 ‘용하다·용케·한가닥’으로도 손봅니다. ‘꾀·꾀하다·꾀바르다·꾀쟁이’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지능적이라는 인정을 받는다

→ 머리 좋다는 소리를 듣는다

→ 머리 잘 쓴다고 여긴다

→ 꾀를 잘 쓴다는 얘기한다

→ 꾀돌이라고 한다

《흰구름 가는 곳》(윤미화, 유정출판사, 1978) 155쪽


구상난풀은 더 지능적이다

→ 구상난풀은 더 똑똑하다

→ 구상난풀은 더 머리를 쓴다

→ 구상난풀은 더 꾀바르다

→ 구상난풀은 더 약빠르다

《나무 수업》(페터 볼레벤/장혜경 옮김, 이마, 2016) 158쪽


지능적이네

→ 똑똑하네

→ 머리 좋네

→ 대단하네

《꼬마곰의 케이크 가게 5》(카멘토츠/박정원 옮김, 디앤씨미디어, 2021)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카드card



카드(card) : 1. 일정한 크기로 조그맣게 자른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 2. 그림이나 장식이 인쇄된 우편물의 일종 3. 내용을 기록하여 자료의 정리, 집계 따위에 사용하는 종이. ‘표’로 순화 4. 카드놀이에 쓰는 제구 5. 방법이나 수단. ‘방안’으로 순화 6. [경제] 상품이나 서비스의 대금 지급을 그 자리에서 바로 하거나, 일정한 기간 뒤에 할 수 있도록 만든 네모난 판을 통틀어 이르는 말 7. [컴퓨터] 문자, 숫자, 기호를 부호화된 정보대로 구멍을 뚫어 기록하여 컴퓨터에 대한 정보 매개체로 사용하는 일정한 규격의 종이 8. [컴퓨터] 특정한 기능을 갖추어 컴퓨터의 확장 슬롯에 꽂도록 설계된 전자 회로 기판(基板)

card : 1. 두꺼운 종이, 카드지 2. (신분을 나타내는) 카드 3. (은행 등의) 카드 4. (크리스마스생일 등의) 카드 5. cards 카드 게임[놀이] 6. (천공) 카드

カ-ド(card) : 1. 카드 2. 명함 모양으로 자른 두꺼운 종이 쪽지 3. 트럼프 4. 시합의 편성



영어 낱말책은 ‘card’를 거의 ‘카드’로 풀이합니다. 쓰임새를 살펴 ‘종이’나 ‘두툼종이·쪽종이’라 할 만합니다. ‘쪽갈피·쪽·조각·쪼가리’라 할 수 있고, ‘올림말·올림글’이나 ‘글·글월·글자락·월’이라 하면 됩니다. ‘이름·이름길·이름꽃·이름빛’이나 ‘이름쪽·이름판’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때로는 ‘자리·길목·판’이나 ‘길·길눈·꾀’로 풀어낼 만합니다. ㅅㄴㄹ



벌권이라고 불리는 카드가 열 장씩 배부되어

→ 가싯짐이라고 하는 쪽종이를 열 장씩 돌려

→ 빨간쪽이라고 하는 종이를 열 장씩 나누어

《재일의 틈새에서》(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 19쪽


지금 준결승인데 가장 주목 받는 카드

→ 이제 넷다툼인데 가장 눈길 끄는 자리

→ 곧 넷겨룸인데 가장 눈길 끄는 길목

→ 바로 넷싸움인데 가장 눈길 끄는 길

→ 슬슬 넉다툼인데 가장 눈길 끄는 판

《마로니에 왕국의 7인의 기사 1》(이와모토 나오/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18)  90쪽


열섬 현상을 해소할 비장의 카드로 주목을 받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 후끈섬을 풀어낼 숨은길로 알려지기 앞서였기 때문에

→ 더위섬을 풀어낼 멋진 꾀로 눈길을 받을 즈음이기 때문에

《황야의 헌책방》(모리오카 요시유키/송태욱 옮김, 한뼘책방, 2018) 99쪽


최후의 카드로 고르다니

→ 마지막 꾀로 고르다니

→ 마지막 길로 고르다니

《드래곤볼 슈퍼 4》(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18) 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나귀 알 - 이우경전래동화집 3 이우경 전래 동화집 3
이우경 / 프뢰벨(베틀북) / 1997년 2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1.4.

그림책시렁 1215


《당나귀 알》

 이우경

 한국프뢰벨주식회사

 1997.2.5.



  눈을 뜨고도 코를 베인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마음을 오롯이 차리지 않을 적에는 크게 속을 뿐 아니라 크게 다친다는 뜻입니다. 눈을 부라리기에 잘 알아보지 않습니다. 눈깜짝 안 하면서 노려보기에 안 놓치지 않습니다. 그래서 ‘눈속임’에 ‘눈가림’ 같은 낱말이 있어요. 눈을 뜨면서 보기에 눈길을 속입니다. 두리번두리번 보니까 눈을 가립니다. 《당나귀 알》은 눈을 뜨고도 코를 베이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랜 이야기예요. 어쩜 이렇게 바보스러울까 싶지만, 먼 옛날 옛적 이야기로 돌릴 수 없습니다. 오늘 우리 삶자리에서도 똑같거나 비슷한 굴레나 수렁을 잇거든요. 이른바 허울좋은 모습에 그대로 속는 사람이 수두룩합니다. 달콤하게 들려주는 말에 그저 넘어가는 사람이 숱합니다. 말끔하게 차려입기에 말끔한 사람일까요? 번듯하게 갖춰입으니 번듯한 사람인가요? 돈을 펑펑 쓰는 사람이 돈이 많을까요? 이름을 날리거나 벼슬이 높기에 훌륭한 사람인지요? 얼굴과 몸이 있으니 얼굴과 몸을 볼 수 있습니다만, 겉모습으로 훑다가 그칠 적에는 으레 마음을 못 보고 놓칩니다. “마음을 어떻게 봐?” 하는 사람이 으레 속습니다. 눈으로 못 본다는 마음은 오직 마음으로 보면 환하게 알 수 있어요. 마음을 틔워야 알아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