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가방비 아침길 (2023.8.20.)

― 서울 〈책방 서로〉, 〈북스피리언스〉, 〈사슴책방〉, 〈무슨서점〉



  구름이 짙은 늦여름에 서울 연남동 골목을 거닙니다. 고흥으로 돌아가기 앞서 마을책집에 들르자고 생각합니다. 어젯밤은 성산동 이웃님 집에서 묵으면서 성미산을 한밤에 거닐어 보았습니다. 아무리 매캐하고 시끄러운 서울 한복판이어도 작은새가 이 뒷동산에서 노래하더군요.


  먼저 〈책방 서로〉 앞에 닿습니다. 아침 열 시가 조금 넘었으니 아직 안 열 만하겠지요. 그러려니 여기면서 오늘 새벽에 문득 쓴 노래 하나를 옮겨적습니다. 책집 미닫이에 슬쩍 얹습니다. 이 가까이에 다른 책집이 있다고 하기에 두리번두리번하다가 〈북스피리언스〉로 찾아옵니다. 이곳도 아직 안 엽니다. 이제 열한 시 즈음이지만, 서울사람한테는 퍽 어를 수 있습니다. 시골내기는 늦어도 새벽 네 시에 하루를 열지만, 서울은 해가 다르게 움직이는걸요. 다시 미닫이에 노래 한 자락을 꽂아놓습니다.


  이 언저리에 여러 책집이 있는데 설마 한 군데도 아침에 안 열 수 있습니다. 그래도 책집 기스락을 거닐면서 마을빛을 누리기만 해도 즐거우리라 봅니다. 어느덧 〈사슴책방〉 곁에 섭니다. 〈사슴책방〉 둘레에서 살거나 일하는 분들은 길에서 담배를 꽤 태웁니다. 한때 적잖은 이들은 길이건 집이건 버스이건 아무렇지 않게 담배를 태웠으나, 이제는 이렇게 하는 이는 확 줄었어요.


  구름하늘은 이따금 가랑비를 뿌립니다. 가랑비가 뺨을 간질이면 “그래, 그래, 너희가 이 땅을 씻고 적시니 언제나 고마워.” 하고 속삭입니다. 바야흐로 〈무슨서점〉이 깃든 골목을 걷습니다. 〈무슨서점〉까지 네 군데 마을책집은 일러도 낮 두 시가 넘어야 여는 듯싶습니다. 그렇지만 서울에서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를 타려면 그때까지 기다릴 수 없습니다. 옹기종기 여러 마을책집이 모인 연남동 골목을 한참 걷다가, 길에서 노래를 옮겨적다가, 이제는 시외버스를 타러 움직입니다.


  덜컹거리는 큰쇠는 땅밑을 한참 달립니다. 언제 들어도 낯선 ‘센트럴시티’에 닿아 비로소 등짐을 내립니다. 이웃나라 마실꾼도 자주 드나드는 곳에 누가 ‘센트럴시티’처럼 ‘시골스런’ 이름을 붙였을까요. 북적이는 한복판에서 땀을 들이다가 곱씹습니다. 오히려 제대로 시골스럽게 ‘한봄·한봄길·한봄마루’라든지 ‘한마루’ 같은 이름을 붙인다면, 여러 나라 이웃사람도 한결 새롭게 서울 한켠을 바라보고 맞이할 만하리라고 봅니다.


  서울을 벗어나 시골로 달리는 버스는 한갓집니다. 몇 사람 안 탑니다. 걸상에 푹 기대어 꿈누리로 갑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주거니받거니 마주하며 (2023.7.22.)

― 서울 〈악어책방〉



  이오덕 님은 예전에 《입으로 적은 시》라는 책을 옮긴 적이 있습니다. 여덟아홉 살 어린이까지는 스스로 종이에 글을 적기가 쉽지 않으니, 아이 곁에서 언제나 함께 살림을 지으면서 “아이가 들려주는 말을 귀담아듣고서 어른·어버이가 옮겨적어 주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열 살 어린이가 문득 읊는 말도 잘 듣고서 옮겨놓으면 저절로 노래(시)입니다. 예닐곱 살 아이도 매한가지요, 서른 살이나 쉰 살 어른이 문득 들려준 말도 차근차근 옮기면 모두 노래예요.


  노래는 저 멀리에 없습니다. 노래는 늘 이곳에 있습니다. 우리가 하는 모든 말은 그대로 노래입니다. ‘말’은 그대로 노래인걸요. 말이 노래가 아닐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는 마음을 ‘말’로 나타낼 적에 으레 가락을 입힙니다. 그저 소리만 낸다면 아무도 못 알아들어요. 길거나 짧거나 밀거나 당기거나 올리거나 내리는 온갖 가락을 문득문득 갖가지로 담아서 들려주고 듣는 말입니다.


  말하듯 쓰는 글은 언제나 다 노래이지만, 꾸며서 쓰는 글은 언제나 차갑고 엉성하고 허울스럽습니다. 말하듯 글을 쓴다면 마음을 그대로 들려줍니다. 꾸며서 글을 쓴다면 마음을 감추거나 숨길 뿐 아니라 억지를 부려요.


  한여름 더위를 물씬 누리면서 서울 〈악어책방〉으로 찾아옵니다. 서울 어린이 여럿하고 둘러앉아서 조잘조잘 수다가 오갑니다. 아이들은 마음껏 떠듭니다. 떠들다가 스스로 쪽종이에 노래를 적기도 하고, 아이들이 터뜨리는 말을 옆에서 슬쩍슬쩍 옮겨적어서 “자, 네가 한 말이 그대로 노래로 피어났단다” 하고 얘기하면서 건네기도 합니다.


  귀를 기울이면 서울 한복판에서도 새노래와 매미노래와 풀벌레노래를 맞아들입니다. 귀를 닫으면 시골 한복판에서도 아무 노래를 못 듣습니다. 마음을 틔우면 서울 한켠에서도 스스로 푸르게 살림을 짓습니다. 마음을 안 틔우면 시골 한켠에서도 그저 나란히 잿집(아파트)에 갇힌 나날로 헤맵니다.


  아이가 어릴 적에 맨발로 풀밭을 거닐다가 나무를 탈 수 있는 터전을 어른으로서 일굴 노릇입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 곁에서 먼저 맨발로 풀밭을 달리며 노래하다가 나무를 타고서 아이를 부를 노릇입니다.


  나이만 먹으면 열 살이건 여든 살이건 똑같이 꼰대입니다. 철이 들면서 하루를 노래하는 살림길이라면, 아흔 살이건 아홉 살이건 똑같이 사랑스럽습니다. 애써 글을 써야 하지 않습니다. 애오라지 놀며 노래하는 노을로 물들면 넉넉합니다. 바로 오늘부터 사근사근 바람을 맞이해 봐요. 누구나 하늘을 마시는 하루인걸요.


ㅅㄴㄹ


《두 번째 페미니스트》(서한영교, 아르테, 2019.6.28.)

《베를 짜다 삶을 엮다》(케이티 호우스 글·디나라 미르탈리포바 그림/남은주 옮김, 북뱅크, 2023.7.25.)

《모양모양 vol.4》(안미영 엮음, 양천문화재단, 2022.12.3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수직상승



 가파르게 수직상승 중이다 → 가파르게 올라간다

 호감도가 수직상승이다 → 확 좋다 / 부쩍 좋다


수직상승 : x

수직(垂直) : 1. 똑바로 드리우는 상태 ≒ 직립 2. [수학]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 따위가 서로 만나 직각을 이루는 상태 3. [지리] = 연직

상승(上昇/上升) : 낮은 데서 위로 올라감



  가파르게 올라가거나 껑충 올라간다고 할 적에 일본말씨로 ‘수직상승’을 쓰기도 하는데, ‘오름바람·높바람’이나 ‘오르다·올리다·끌어올리다’로 손질합니다. ‘오르막·오름길·오름결’이나 ‘올라가다·올라서다·올라오다·올려놓다·올려주다’로 손질하고요. ‘높다·뛰다·뛰어오르다·껑충’이나 ‘날다·날아오르다·널뛰다’로 손질하고, ‘솟다·솟구치다·치솟다’로 손질하지요. ‘부쩍·일다·좋다·채다’나 ‘피다·피어나다·피우다·피는길’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돋다·떠오르다·뜨다’나 ‘튀다·튀어오르다’나 ‘봉긋·들먹이다·추다·치밀다’로 손질할 수 있어요. ‘확·확확·훅·훅훅’으로 손질해도 어울리고요. ㅅㄴㄹ



덕분에 러시아에 대한 호감은 수직상승함

→ 그래서 러시아가 확 마음에 든다

→ 이리하여 러시아한테 사로잡힘

《내 손으로, 시베리아 횡단열차》(이다, 미술문화, 2024) 6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14.

숨은책 857


《輓近圖法敎科書 卷二》

 馬場秋次郞 글

 右文書店

 1937.6.1.첫/1937.12.20.고침2벌



  숱한 일본한자말 가운데 ‘역할’은 꼭 고쳐써야 한다고 말씀하는 분을 곧잘 만납니다. 그런데 이분은 ‘역할’을 뺀 다른 일본한자말은 오지게 씁니다. 한 낱말만 안 쓰면 일본찌꺼기를 털어낸 셈일까요? 일본이 이 땅을 한참 짓누르던 무렵에 “朝鮮工業技術學校 土木科 壹年 四七號”로 ‘집짓기’를 배우던 분이 쓰던 배움책 《輓近圖法敎科書 卷一·二》가 있습니다. 이분은 1945년 8월까지, 또는 그 뒤로도 한참 ‘金山漢奎’라는 이름을 쓴 듯합니다. 1949년 9월 9일에 이르러 ‘김한규’로 새로 새기는군요. 지난날 ‘조선공업기술학교’는 언제 사라지거나 이름을 바꾸었는지 알 길이 없습니다. 그런데 ‘기술학교’도 ‘토목·토목과’도 ‘일년·이년·삼년’에 ‘1호·47호’ 같은 이름도 죄 일본말씨입니다. 우리는 ‘이름’이란 우리말은 아예 안 쓰다시피 하면서 ‘성명·명·본명’에다가 ‘사인’이란 영어까지 뒤섞어요. 지난날에 뭘 하려면 일본이름(창씨개명)을 써야 했다지만, 다 일본이름을 쓰지는 않았어요. 흙살림을 짓거나 아이를 돌본 수수한 사람은 한이름(한국이름)을 건사했습니다. 들볶이고 짓밟히고 일자리조차 못 얻어도 꿋꿋이 참이름을 지킨 사람도 수두룩해요. 이제 “서울 신당동”으로 바뀐 “京機府 新堂町(1936∼46년)”인데 에 이 책으로 배우던 분은 1950년에 부산으로 옮긴 듯싶어요. 부산 헌책집 〈보수서점〉에서 이분이 보던 책을 한꺼번에 만났습니다.


- 現住所 京機府 新堂町 石山洞 二八-二二號 (서울 신당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14.

숨은책 861


《簡明 實業修身書 券三》

 勝部謙造 글

 英進社

 1938.7.10.첫/1941.7.25.고침3벌



  큰고장에서 시내버스를 탈 적에 어린이·푸름이가 손전화를 크게 켜고서 노닥거리는 모습은 거의 못 봅니다만, 시골에서 군내버스를 탈 적에는 늘 봅니다. 이 아이들은 집에서 뭘 배우기에 이럴까요? 어린배움터·푸른배움터에서는 스스로 매무새를 돌보는 길을 안 가르칠까요? 《簡明 實業修身書 券三》은 일본에서 엮고 내놓았으나 우리나라 배움터에서 버젓이 가르쳤습니다. 1938∼41년은 한참 사슬(식민지)에 갇히던 무렵일 뿐 아니라, 한말·한글을 쓰면 안 되면서 일본말·일본글만 쓰라고 억누르던 즈음이에요. 이 배움책을 보던 분은 뒷자락에 ‘大本營發表’라고 적었습니다. 아무래도 ‘임시정부’ 이야기를 듣기는 어려웠을 테고, 언제나 일본 우두머리 이야기를 들었을 테지요. 더욱이 《實業修身書》는 허울은 ‘몸닦이(修身)’라고 내세우지만, 속으로는 ‘명치천황’이 내려준 ‘칙어’를 받들어서 ‘신일본문화’를 세우자는 뜻을 외칩니다. 일본으로서도 우리로서도 창피한 배움터 민낯일 텐데, 그때에 이런 책을 엮고 가르치고 펴던 이 가운데 누가 잘못을 밝히거나 빌었을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도 일본도 얼룩과 고름을 안 씻은 채 1945년을 맞고서 오늘까지 이르렀다고 느껴요. 스스로 착하고 참하게 서도록 북돋우지 않는 배움터라면 거짓잔치입니다. 종살이를 하라고 길드는 우두머리야말로 거짓머리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