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1.14.
숨은책 861
《簡明 實業修身書 券三》
勝部謙造 글
英進社
1938.7.10.첫/1941.7.25.고침3벌
큰고장에서 시내버스를 탈 적에 어린이·푸름이가 손전화를 크게 켜고서 노닥거리는 모습은 거의 못 봅니다만, 시골에서 군내버스를 탈 적에는 늘 봅니다. 이 아이들은 집에서 뭘 배우기에 이럴까요? 어린배움터·푸른배움터에서는 스스로 매무새를 돌보는 길을 안 가르칠까요? 《簡明 實業修身書 券三》은 일본에서 엮고 내놓았으나 우리나라 배움터에서 버젓이 가르쳤습니다. 1938∼41년은 한참 사슬(식민지)에 갇히던 무렵일 뿐 아니라, 한말·한글을 쓰면 안 되면서 일본말·일본글만 쓰라고 억누르던 즈음이에요. 이 배움책을 보던 분은 뒷자락에 ‘大本營發表’라고 적었습니다. 아무래도 ‘임시정부’ 이야기를 듣기는 어려웠을 테고, 언제나 일본 우두머리 이야기를 들었을 테지요. 더욱이 《實業修身書》는 허울은 ‘몸닦이(修身)’라고 내세우지만, 속으로는 ‘명치천황’이 내려준 ‘칙어’를 받들어서 ‘신일본문화’를 세우자는 뜻을 외칩니다. 일본으로서도 우리로서도 창피한 배움터 민낯일 텐데, 그때에 이런 책을 엮고 가르치고 펴던 이 가운데 누가 잘못을 밝히거나 빌었을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도 일본도 얼룩과 고름을 안 씻은 채 1945년을 맞고서 오늘까지 이르렀다고 느껴요. 스스로 착하고 참하게 서도록 북돋우지 않는 배움터라면 거짓잔치입니다. 종살이를 하라고 길드는 우두머리야말로 거짓머리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