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노후 老後


 노후 대책 → 늘그막 대책

 노후의 생활 설계 → 늘그막살이 세우기

 노후를 편안히 보내다 → 늘그막을 느긋이 보내다


  ‘노후(老後)’는 “늙어진 뒤”를 가리킨다고 해요. “늙은 뒤”로 손보거나 ‘늘그막’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늙다’로 알맞게 손보고, ‘뒷삶’ 같은 낱말을 지을 수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노후’가 둘 더 나오는데, 둘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낡았으면 ‘낡다’라 하면 되어요. 2018.2.26.달.ㅅㄴㄹ



노후(老朽) : 오래되고 낡아 제구실을 하지 못함

노후(怒吼) : 성내어 으르렁거림



노후를 아릅답게 사는 길이라 명심하고

→ 늘그막을 아름답게 사는 길이라 새기고

→ 뒷삶을 아름답게 사는 길이라 되새기고

《할아버지의 부엌》(사하시 게이조/엄은옥 옮김, 여성신문사, 1990) 186쪽


가까이에서 다이키치의 노후를 돌봐 줄까 해

→ 늙은 다이키치를 가까이에서 돌봐 줄까 해

→ 다이키치가 늙으면 가까이에서 돌봐 줄까 해

《토끼 드롭스 8》(우니타 유미/양수현 옮김, 애니북스, 2012) 154쪽


내 중년과 노후를 보낼 사랑을 만날 수 있을까

→ 내 마흔과 늘그막을 보낼 사랑을 만날 수 있을까

《서른, 나는 나에게로 돌아간다》(신현림, 예담, 2013) 41쪽


노후에도 빵집 하면 되잖아

→ 늘그막에도 빵집 하면 되잖아

→ 늙어서도 빵집 하면 되잖아

《말랑말랑 철공소 5》(노무라 무네히로/이지혜 옮김, 학산문화사, 2016) 11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