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분사 噴射


 분사 노즐 → 뿜는 구멍 / 뿜개

 가스 분사 장치 → 가스 뿜는 장치 / 가스 뿜개 장치

 연료가 분사되다 → 기름이 뿜어 나오다

 물을 분사하다 → 물을 뿜다


  ‘분사(噴射)’는 “액체나 기체 따위에 압력을 가하여 세차게 뿜어 내보냄”을 뜻한다고 합니다. ‘뿜다’나 ‘내뿜다’로 손질해 줍니다. 한자말 ‘분사’는 물이나 바람을 내보내는 몸짓을 가리키니, 거미가 줄을 ‘분사’한다고 하면 어울리지 않습니다. 거미는 줄을 ‘뽑는다’고 해야 알맞아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분사’를 아홉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2.23.쇠.ㅅㄴㄹ



분사(分司) : [역사] 1. = 경연청 2. 고려 시대에, 기본 관아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일정한 인원이나 기능을 분리하여 따로 둔 분관청. 개경의 관아를 서경에도 나누어 설치한 것이다

분사(分社) : 본사(本社)에서 갈리어 그 아래에 속하여 있는 하부 기관이나 사업체

분사(分詞) : [언어] 형용사의 기능을 가지는 동사의 부정형

분사(粉沙/粉砂) : [북한어] [지리] 알갱이의 지름이 0.01∼0.1mm인 부드러운 모래. ‘가루모래’로 다듬음

분사(粉飼) : [농업] = 가루모이

분사(紛奢) : = 호사(豪奢)

분사(焚死) : = 소사(燒死)

분사(?事) : 실패하여 틀려 버린 일

분사(憤死) : 분(憤)에 못 이겨 죽음



공중 액체분사 농약을 맞은 나비가 죽은 모습을 보고는

→ 하늘에서 뿜은 농약을 맞은 나비가 죽은 모습을 보고는

→ 하늘에서 뿌린 농약을 맞은 나비가 죽은 모습을 보고는

《나츠코의 술 3》(오제 아키라/박시우 옮김, 학산문화사, 2011) 171쪽


천장에서 불을 분사하고 그 아래로 구름이 생기게 하죠

→ 천장에서 불을 뿜고 그 밑으로 구름이 생기게 하죠

→ 천장에서 불을 내뿜고 그 밑으로 구름이 생기게 하죠

《웨스 앤더슨 컬렉션》(웨스 앤더슨·매트 졸러 세이츠/조동섭 옮김, 윌북, 2017) 321쪽


바람이 불면 거미줄을 분사해 바람을 탑니다

→ 바람이 불면 거미줄을 쏘아 바람을 탑니다

→ 바람이 불면 거미줄을 뽑아 바람을 탑니다

→ 바람이 불면 거미줄을 날려 바람을 탑니다

《거미가 궁금해》(이영보, 자연과생태, 2018) 5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