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적합 適合


 적합 여부를 묻다 → 맞는지를 묻다 / 알맞는가를 묻다

 적합 판정을 내리다 → 맞다고 하다 / 알맞다고 하다

 벼농사에 적합한 기후 → 벼농사에 좋은 날씨 / 벼농사에 맞는 날씨

 내게 적합하지 않다 → 내게 맞지 않다

 겨울용으로 적합하다 → 겨울에 쓰기 좋다 / 겨울에 알맞다

 적합한 장소였다 → 알맞은 곳이었다 / 좋은 곳이었다


  ‘적합(適合)’은 “일이나 조건 따위에 꼭 알맞음 ≒ 의합”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알맞다’로 고쳐씁니다. 또는 ‘맞다’나 ‘걸맞다’나 ‘들어맞다’로 고쳐씁니다. ‘좋다’로 고쳐쓸 수도 있어요. 2018.2.19.달.ㅅㄴㄹ



현 상태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명백히 알고 있어도

→ 오늘날 알맞지 않은 줄 똑똑히 알아도

→ 이제는 들어맞지 않는 줄 또렷이 알아도

《맛의 달인 39》(테츠 카리야·아키라 하나사키/이석환 옮김, 대원, 1999) 173쪽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모양을 하고 있어

→ 저한테 가장 맞는 모습을 해

→ 저한테 가장 알맞는 모습이야

《파브르에게 배우는 식물 이야기》(노정임·안경자, 철수와영희, 2014) 98쪽


한자의 발음을 전사하기가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한자 소리를 옮기기가 알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 한자 소리를 옮기기가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글의 발명》(정광, 김영사, 2015) 121쪽


저는 그 형태가 적합하다는 사람이 열에 하나 정도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 저는 그 얼개가 알맞다는 사람이 열에 하나쯤이리라고 생각합니다

→ 저는 그 짜임새가 꼭 맞다는 사람이 열에 하나쯤이라고 생각합니다

→ 저는 그 틀이 좋다는 사람이 열에 하나쯤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른 노릇 아이 노릇》(고미 타로/김혜정 옮김, 미래인, 2016) 182쪽


영어를 우리말에 적합한 특성으로 걸러내지 않고

→ 영어를 우리말에 맞게 걸러내지 않고

→ 영어를 우리말에 걸맞게 걸러내지 않고

《한글을 알면 영어가 산다》(김옥수, 비꽃, 2016) 148쪽


이 일전이야말로 왕족의 무훈담이 되기에 적합한 것도 사실이지

→ 이 한판이야말로 임금한테 멋진 싸움얘기가 될 만하기도 하지

→ 이 한판이야말로 임금으로서 멋진 싸움얘기가 될 수 있기도 하지

《히스토리에 10》(이와아키 히토시/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2017) 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