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읽기 2018.2.15.


《내일의 노래》

고은 글, 창작과비평사, 1992.4.25.



  이튿날이 설인 듯하다. 아니 이튿날이 설일 테지. 오늘은 무척 푹하구나 싶어 아침부터 방문을 열어젖힌다. 어제는 처음으로 평상에 앉아서 포근한 볕살을 누리며 책을 읽을 수 있었고, 오늘은 한결 포근해 반바지 차림으로 돌아다닌다. 저녁에 해가 진 뒤에는 살짝 쌀쌀하지만 좋다. 작은아이는 우리 뒤꼍에 봄꽃이 폈다며 빙그레 웃는다. 저녁이 되니 그동안 캄캄하던 마을이 온통 불빛잔치이다. 올해에도 불꽃을 터뜨릴 서울아이가 있으려나. 책숲집에 가서 《내일의 노래》를 챙긴다. 1992년에 나온 고은 시집을 읽어 본다. 책끝에 송기숙 소설가가 고은 시인하고 얽힌 이야기를 적고, 고은 시인 스스로 니나노집 사람들하고 술자리를 마주한 이야기를 적는다. 그래, 그무렵에는 그들 몸짓도 술자리도 술짓도 ‘객기·기행’ 따위로 얼버무렸지. 허벌난 술짓을 벌인 뒤에는 ‘술김’이라는 말로 덮어버렸지. 이러면서도 한 가지를 느낀다. 고은이라는 이는 그렇게 날이면 날마다 술에 절어 살면서도 용케 글을 썼네. 그러나 송기숙 소설가가 책끝에 적었듯이 이들은 술에 절어 사느라 ‘강의·강연’에서 해롱거리기 일쑤였단다. 그러고 보니, 2008년이던가 2009년에 신경림 시인이 술에 절어 해롱해롱 지분거리는 강의를 구경한 적 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