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발상 發想
발상의 전환 → 생각 바꾸기 / 생각 돌리기 / 생각 고치기 / 생각 거듭나기
시대착오적 발상 → 시대를 거스르는 생각 / 어리석은 생각 / 거꾸로 가는 생각
케케묵은 발상 → 케케묵은 생각
그런 발상은 → 그런 생각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발상한 것이다 → 문제를 풀려고 생각했다
‘발상(發想)’은 “1. 어떤 생각을 해냄 2. [음악] 악곡의 곡상(曲想), 완급(緩急), 강약(强弱) 따위를 표현하는 일”을 뜻한다 합니다. ‘생각’으로 손볼 만한데, 노래에서는 ‘나타내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발상’을 두 가지 싣는데, ‘발상(發祥)’은 ‘나타나다·비롯하다·태어나다’로, ‘발상(發喪)’은 ‘머리풀기(머리를 풀다)’로 손볼 만하지 싶습니다. 2018.1.30.불.ㅅㄴㄹ
발상(發祥) : 1. 상서로운 일이나 행복의 조짐이 나타남 2. 천명(天命)을 받아 천자가 될 조짐이 나타남 3. 제왕이나 그 조상이 태어남 4. 역사적으로 큰 의의를 가질 만한 일이 처음으로 나타남 5. [음악] 조선 세종 때에 창작된 무악(舞樂)의 하나
발상(發喪) : 상례에서, 죽은 사람의 혼을 부르고 나서 상제가 머리를 풀고 슬피 울어 초상난 것을 알림
평화롭고 정상적인 출산을 원하는 부부라면 마치 공장의 조립 라인과도 같은 데서 아기를 낳겠다는 발상은 하지 않을 것이다
→ 평화롭게 제대로 아기를 낳고픈 부부라면 마치 공장에서 짜맞추듯 하는 데서 아기를 낳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아기를 낳고픈 두 사람이라면, 마치 공장처럼 끼워맞추듯 하는 데서 아기를 낳겠다고는 하지 않는다
《평화로운 출산 히프노버딩》(메리 몽간/정환욱·심정섭 옮김, 샨티, 2012) 60쪽
먼저 알려주면 어떨까 하는 발상에서 시작된 아이디어였다
→ 먼저 알려주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비롯했다
→ 먼저 알려주면 어떨까 하는 물음에서 비롯한 생각이었다
《동네서점》(다구치 미키토/홍성민 옮김, 펄북스, 2016) 74쪽
먹을거리가 곧 생명이라는 발상으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 먹을거리가 곧 생명이라는 생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 먹을거리가 곧 생명이라는 마음으로 바꿔야 합니다
→ 먹을거리가 곧 생명이라는 넋으로 달라져야 합니다
→ 먹을거리가 곧 생명이라고 생각하도록 거듭나야 합니다
→ 먹을거리가 곧 생명이라는 생각할 줄 알아야 합니다
《10대와 통하는 농사 이야기》(곽선미와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17) 34쪽
더 중요한 것은 학생 스스로 해낸 발상이라는 점이다
→ 더 중요하다면 학생 스스로 해낸 생각이라는 대목이다
→ 더 뜻있다면 학생 스스로 해낸 생각이다
→ 학생 스스로 해낸 생각이라 더 뜻깊다
《수포자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폴 록하트/박용현 옮김, 철수와영희, 2017) 8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