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쾌락 快樂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쾌락 중 하나 → 사람이 누릴 수 있는 기쁨 가운데 하나

 쾌락을 추구하다 → 즐거움을 좇다 / 신나기를 바라다

 쾌락을 얻다 → 즐겁다 / 기쁘다 / 신나다

 잠의 쾌락에 빠지다 → 잠에 즐겁게 빠지다 / 신나게 자다

 쾌락한 환경 → 즐거운 터전 / 신나는 터전

 정신이 상쾌하고 마음이 쾌락했다 → 넋이 시원하고 마음이 즐거웠다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다 → 마음이 즐겁기를 바라다 / 신나는 마음을 바라다


  ‘쾌락(快樂)’은 “1. 유쾌하고 즐거움. 또는 그런 느낌 2. [심리] 감성의 만족, 욕망의 충족에서 오는 유쾌하고 즐거운 감정”을 가리킨다는데, ‘유쾌(愉快)’는 “즐겁고 상쾌함”이라 하고, ‘상쾌(爽快)’는 “느낌이 시원하고 산뜻함”이라 합니다. ‘즐겁다’는 “마음에 거슬림이 없이 흐뭇하고 기쁘다”라 하지요. 여느 자리에서는 ‘즐기다’로 손볼 만하고, ‘기쁘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신나다’로 즐길 적에 알맞을 수 있고, “시원하게 즐기다”나 “시원스레 즐겁다”로 손보거나 “마구 즐기다”나 “헤프게 즐기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쾌락(快諾)’을 “남의 부탁이나 요청 따위를 기꺼이 들어줌”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기꺼이 들어주다”나 “서글서글 들어주다”로 고쳐쓰면 됩니다. 2018.1.30.불.ㅅㄴㄹ



종교행사 정도의 여행은 할지 모르지만, 쾌락을 위한 여행은 할 수가 없다

→ 종교행사 같은 여행은 할지 모르지만, 신나게 놀려는 여행은 할 수가 없다

→ 종교행사 같은 여행은 할지 모르지만, 마구 즐기려는 여행은 할 수가 없다

《제3세계의 관광공해》(론 오그라디/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편역, 민중사, 1985) 9쪽


많은 기업과 방송 매체들이 성으로 돈을 벌기 위해 쾌락을 소비하도록 부추기고

→ 많은 기업과 방송 매체가 성으로 돈을 벌려고 헤프게 즐기도록 부추기고

→ 많은 기업과 방송 매체가 성으로 돈을 벌려고 마구 즐기도록 부추기고

《10대와 통하는 성과 사랑》(노을이, 철수와영희, 2012) 16쪽


정신분석학 이론에 따르면, 쾌락과 과도한 즐김은 서로 전혀 다른 개념이다

→ 정신분석학 이론에서는, 시원한 즐김과 지나친 즐김은 서로 다르다

→ 정신분석학에서, 시원하게 즐길 적하고 지나치게 즐길 적은 서로 다르다

《건강 신드롬》(칼 세데르스트룀·앙드레 스파이서/조응주 옮김, 민들레, 2016) 15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