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역 逆
역으로 말하면 → 거꾸로 말하면 / 뒤집어 말하면
항상 역으로만 바라보던 그의 난해성이 → 늘 거꾸로만 바라보던 그 어려움이
‘역(逆)’은 “반대 또는 거꾸로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런데 ‘거꾸로’를 “차례나 방향, 또는 형편 따위가 반대로 되게”로 풀이하니 “반대 또는 거꾸로”는 겹말인 셈이며, ‘반대(反對)’도 ‘거꾸로’로 손볼 만하지 싶어요. ‘뒤집어’로 손질해도 되고, ‘되레·도리어’나 ‘외려·오히려’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2018.1.28.해.ㅅㄴㄹ
역을 찌르는 코스, 볼의 위력도 흔들림이 없다
→ 거꾸로 찌르는 공, 공힘도 흔들림이 없다
→ 뒤를 찌르는 공, 공힘도 흔들림이 없다
→ 빈틈을 찌르는 공, 공힘도 흔들림이 없다
《4번 타자 왕종훈 11》(산바치 카와/편집부 옮김, 서울문화사, 1994) 178쪽
이는 등장인물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입을 거부함으로써 역(逆)으로 효과를 올리는 것을 가리킨다
→ 이는 등장인물한테 관객이 마음을 못 쏟게 하면서 거꾸로 돋보이도록 하는 일을 가리킨다
→ 이는 등장인물한테 관객이 마음을 못 쏟게 하면서 되레 눈길을 끄는 일을 가리킨다
→ 이는 등장인물한테 관객이 마음을 못 쏟게 하면서 오히려 마음이 가도록 하는 일을 가리킨다
《영한사전 비판》(이재호, 궁리, 2005) 36쪽
그 역도 마찬가지
→ 거꾸로도 마찬가지
→ 뒤집어도 마찬가지
→ 돌려도 마찬가지
《시의 눈, 벌레의 눈》(김해자, 삶창, 2017) 23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