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둔감 鈍感


 유행에 둔감하다 → 유행에 무디다

 주변 환경에 둔감한 성격 → 둘레 모습에 무딘 마음씨

 형은 좀 둔감했고 → 형은 좀 무디었고

 결코 둔감한 아이들이 아닐 텐데 → 도무지 무딘 아이들이 아닐 텐데


  ‘둔감(鈍感)’은 “무딘 감정이나 감각”을 가리킨다고 해요. 말뜻대로 ‘무디다’로 손봅니다. “못 느끼다”로 손보아도 되고, 때로는 ‘무뚝뚝하다’나 ‘따분하다’로 손볼 만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둔감(屯監)’을 “[역사] 조선 후기에, 관아의 둔전을 관리하던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역사사전 아닌 한국말사전이니 털어내 줍니다. 2018.1.26.쇠.ㅅㄴㄹ



둔감한 인간 같으니

→ 무딘 사람 같으니

→ 무뚝뚝한 사람 같으니

→ 따분한 사람 같으니

《이미지퍼즐》(강경옥, 반디, 2005) 10쪽


아무리 일본인의 후각이 발달했다지만 도시 공간에서 생활하다 보니 코가 둔감해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아무리 일본사람이 코가 좋다지만 도시에서 살다 보니 무디어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아무리 일본사람이 코가 좋다지만 도시에서 살다 보니 못 느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톰의 슬픔》(데즈카 오사무/하연수 옮김, 문학동네, 2009) 86쪽


나를 포함해서 기성세대는 권리보다 의무에 익숙하고, 일상생활 속 정치적 권리에 둔감한 편이란다

→ 나를 비롯해서 어른들은 권리보다 의무에 익숙하고, 삶에서 정치 권리에 무디단다

→ 나를 비롯해서 어른들은 권리보다 의무에 익숙하고, 삶에서 정치 권리를 잘 못 느낀단다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이임하, 철수와영희, 2017) 20쪽


내가 이렇게 굼뜨고 둔감한지 처음 알았어

→ 내가 이렇게 굼뜨고 무딘지 처음 알았어

→ 내가 이렇게 굼뜨고 엉성한지 처음 알았어

《사야와 함께 4》(타니카와 후미코/문기업 옮김, AK comics, 2017) 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