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의상 衣裳


 우리 민족의 고유한 의상 → 우리 겨레 오랜 옷 / 우리 겨레옷

 의상을 갖춰 입다 → 옷을 갖춰 입다

 의상실 → 옷집 / 옷가게


  ‘의상(衣裳)’은 “1. 겉에 입는 옷 2. 배우나 무용하는 사람들이 연기할 때 입는 옷 3. 여자들이 입는 겉옷. 저고리와 치마를 이른다”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그저 ‘옷’이라 하면 됩니다. 옷이니 옷이라 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한자말 ‘의상’ 다섯 가지는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2018.1.15.달.ㅅㄴㄹ



의상(意想) : 마음속에 지닌 뜻이나 생각

의상(義湘) : [인명] 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625∼702)

의상(義傷) : 의로운 일을 하다가 다침

의상(擬像) : [북한어] 모양을 모방함

의상(蟻裳) : 검은색 치마



전통 의상을 입고

→ 전통옷을 입고

→ 옛옷을 입고

→ 나라옷을 입고

→ 마을옷을 입고

→ 겨레옷을 입고

《우체부 슈발》(오카야 코지·야마네 히데노부 그림/김창원 옮김, 진선출판사,  2004) 10쪽


기막힌 무대 의상이야. 잠옷에 띠라니

→ 놀라운 무대옷이야. 잠옷에 띠라니

→ 어이없는 무대옷이야. 잠옷에 띠라니

《유리가면 2》(미우치 스즈에/해외단행본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 100쪽


신부의상은 가능한 여러 사람의 바늘이 들어가야 하는 거야

→ 신부옷은 되도록 여러 사람 바늘이 들어가야 해

→ 신부 꽃옷은 되도록 여러 사람 바늘이 들어가야 해

《신부 이야기 4》(모리 카오루/김완 옮김, 대원씨아이, 2012) 171쪽


의상은 빌린 거고 축하 박은 엄마가 퇴원했을 때 썼던 것 재사용했으니까

→ 옷은 빌렸고 축하 박은 엄마가 병원에서 나올 때 쓴 것 다시 썼으니까

→ 옷가지는 빌렸고 축하 박은 엄마가 병원에서 나올 때 쓴 것 다시 썼으니까

《은빛 숟가락 11》(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16) 84쪽


배우는 분장을 손보고, 의상과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 배우는 차림새를 손보고, 옷과 머리결을 바꾸고

→ 배우는 꾸밈새를 손보고, 옷차림과 머리차림을 바꾸고

《웨스 앤더슨 컬렉션》(웨스 앤더슨·매트 졸러 세이츠/조동섭 옮김, 윌북, 2017) 28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