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사악 邪惡
사악을 물리치다 → 나쁜 것을 물리치다 / 궂은 것을 물리치다
사악한 음모 → 나쁜 꿍꿍이 / 짓궂은 속셈 / 못된 꿍꿍이셈
사악한 무리 → 몹쓸 무리 / 나쁜 무리
사악한 행동 → 몹쓸 짓 / 나쁜 짓 / 궂은 짓
사악한 마음을 품다 → 나쁜 마음을 품다 / 못된 마음을 품다
‘사악(邪惡)’은 “간사하고 악함”을 가리킨다 하는데, ‘간사하다(奸邪-)’는 “1.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나쁜 꾀를 부리는 등 마음이 바르지 않다 2. 원칙을 따르지 아니하고 자기의 이익에 따라 변하는 성질이 있다”를 가리키고, ‘악하다(惡-)’는 “인간의 도덕적 기준에 어긋나 나쁘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뜻을 찬찬히 살피면 ‘나쁘다 + 나쁘다’인 셈입니다. 그저 ‘나쁘다’라 하면 되고, ‘몹쓸’이나 ‘못된’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궂다’나 ‘짓궂다’로 손봐도 됩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사악’이 여섯 가지 더 나옵니다만,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옛날 중국 산 이름이나 노래 이름을 한국말사전에 왜 실어야 할까요? 2017.12.2.흙.ㅅㄴㄹ
사악(司樂) : [역사] 신라 때에, 음성서(音聲署)의 으뜸 벼슬
사악(四岳/四嶽) : 1. 고대 중국에서, 사방의 네 큰 산인 동쪽의 타이산산(泰山山), 서쪽의 화산(華山), 남쪽의 헝산산(衡山山), 북쪽의 헝산산(恒山山)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역사] 고대 중국에서, 사방의 제후를 이르던 말
사악(四惡) : 《논어》에서, 국가를 다스리는 데에 나쁜 네 가지 일을 이르는 말
사악(詞樂) : [음악] 중국 송나라 때 성행하였던 사(詞)의 음악
사악(肆惡) : 악독한 성질을 함부로 부림
사악(賜樂) : [역사] 임금이 신하에게 풍류를 내려 주던 일. 또는 그 풍류
두 번 다시 사악한 자들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 두 번 다시 나쁜 녀석들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 두 번 다시 몹쓸 놈들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이누야샤》(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2) 9쪽
사람들은 모두 곤충을 사악하다고 말해
→ 사람들은 모두 벌레를 나쁘다고 말해
《곤충화가 마리아 메리안》(마르가리타 엥글·줄리 패치키스/엄혜숙 옮김, 담푸스 펴냄, 2011) 7쪽
내가 사악하거나 몰인정해서가 아니었다
→ 내가 나쁘거나 차가워서가 아니었다
→ 내가 못되거나 매몰차서가 아니었다
《바다에는 악어가 살지》(파비오 제다/이현경 옮김, 마시멜로, 2012) 271쪽
노동자들이 착취에 시달리는 건 자본가들의 본성이 사악해서가 결코 아니에요
→ 노동자가 권리를 빼앗기는 까닭은 자본가 바탕이 나빠서가 아니에요
→ 노동자가 짓밟히고 시달리는 탓은 자본가 마음씨가 못되서가 아니에요
《10대와 통하는 노동인권 이야기》(차남호, 철수와영희, 2013) 6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