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잘하고 글 잘 쓰게 돕는 읽는 우리말 사전 2 군더더기 한자말 떼어내기》를 내놓았습니다. 긴 이름을 간추려 “읽는 우리말 사전” 둘째 권이나 “읽는 사전” 둘째 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읽는 사전” 둘째 권은 군더더기로 붙이는 한자말이 글쓰기에서 얼마나 걸림돌이나 수렁이 되는가를 밝힙니다.


남들이 잘 안 쓰는 어려운 말을 일부러 찾아 쓴다든지 한자말이나 영어를 섞어 쓰면, 무언가 그럴듯하거나 많이 아는 듯 보인다고 여기는 분들이 제법 있습니다. 그보다는 어른 아이 모두 잘 알아들을 만큼 뜻이 뚜렷하고 쉬운 낱말로 이야기하면 더 멋지지 않을까요? 군더더기 없이 산뜻하게 말하고 글 쓰는 데 이 책이 도움 되기를 바랍니다.


한자말을 쓴다고 해서 옳거나 그른 일이 아니지만 겉치레로 붙이는 묶음표 한자말은 털어내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새롭게 살릴 수 있는 말마디가 하나둘 깨어납니다. 숨죽이던 낱말을 만나고, 새로운 말을 슬기롭게 짓는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3289127



머리말 : ‘(묶음표)’로 덧붙인 한자말 떼어내기



  말을 할 적에는 한자말이 어떤 한자인가를 밝히면서 말하지 않기 마련입니다. 이와 달리 글을 쓸 적에는 한자말에 묶음표를 치고 한자를 넣는 분이 있습니다. 한자로 된 낱말이기에 한자를 꼬박꼬박 밝히거나 묶음표를 쳐서 한자를 그때그때 넣어야 할까요?


  학교는 그저 ‘학교’입니다. ‘學校’라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동차는 그저 ‘자동차’입니다. ‘自動車’를 밝혀 주지 않아도 됩니다. 전화기를 ‘전화기’ 아닌 ‘電話機’로 적는들 알아보기에 좋지 않습니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 한자말은 얼마나 될까요? 우리는 한자말을 모르면 말을 못 할까요?


  사전에 한자말이 퍽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국말사전은 슬프고 아픈 발자국이 있어요. 일본말사전을 베껴서 한국말사전을 서둘러 엮은 탓에 한국에서 안 쓰는 일본 한자말을 비롯해서 우리가 한 번도 들을 일이 없고 쓸 일조차 없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한자말이 한국말사전에 터무니없게 실리고 말았습니다.


  어린이문학이나 어린이책에서 묶음표를 쳐서 한자를 밝히는 일은 거의 없거나 아예 없습니다. 청소년책을 비롯해서 어른이 보는 인문학, 문학, 학술 책에서 ‘묶음표 한자말’이 불거집니다. 사람들은 왜 묶음표를 치고 한자를 넣을까요? ‘묶음표 한자말’을 써야 글뜻이 또렷할까요?


  한글로 적어도 알아보기 어려운 낱말은 한자가 무엇인가를 밝혀 주어도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린이도 어른도 모두 알기 쉽도록 한국말을 새롭게 짓거나 가꾸도록 마음을 기울일 노릇입니다. 사전을 뒤적여 한자말이 어떤 한자인가를 살펴서 묶음표에 붙이는 글버릇은 이제 멈추고, 쉽게 알아들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가 쓰는 한국말을 알차며 곱게 가꿀 수 있도록 새롭고 쉬우며 고운 말결을 헤아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묶음표 한자말’은 군더더기 글버릇이라고 느낍니다. 이 군더더기를 찬찬히 걷어내면서 겉치레도 벗어던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산뜻하면서 홀가분하고 싱그러운 한국말을 새롭게 찾아나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읽는 우리말 사전’ 첫째 권에 이어 둘째 권에서도 이웃님이 단출하게 읽고 생각을 북돋우시기를 바라는 마음을 띄우려고 합니다. 제가 손질해 본 보기글은 제 나름대로 힘을 기울인 말씨입니다. 이 책을 읽어 주시는 이웃님들도 나름대로 새롭게 말씨를 가꾸거나 북돋아 보시면 좋겠습니다. 저마다 다르면서 저마다 아름답게 말을 살리고 글을 살려서 ‘말 잘하고 글 잘 쓰는’ 멋진 글님으로 거듭나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