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조성 造成
기금 조성 → 기금 마련 / 돈 모으기
택지 조성 → 집자리 닦기 / 집터 마련하기
관광단지 조성 → 관광단지 짓기 / 관광단지 세우기
면학 분위기 조성 → 배울 분위기 마련 / 배우는 분위기 가꿈
독서 풍토 조성 → 책 읽는 터전 마련 / 책 읽는 바탕 다지기
‘조성(造成)’은 “1. 무엇을 만들어서 이룸 2. 분위기나 정세 따위를 만듦”을 가리킨다고 해요. 말뜻처럼 ‘만들다’로 고쳐쓰면 될 텐데, 무턱대고 ‘만들다’로만 고쳐쓸 수는 없습니다. ‘짓다’나 ‘가꾸다’나 ‘꾸미다’나 ‘마련하다’ 같은 말로 손질할 곳이 있어요. ‘다지다’나 ‘세우다’나 ‘두다’로 손질할 곳도 있고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조성’이 일곱 가지 더 나오는데 모두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새소리 같은 말이 어엿이 있는데 ‘조성(鳥聲)’을 써야 할 까닭은 참말 없습니다. 2017.11.29.물.ㅅㄴㄹ
조성(早成) : = 조숙
조성(助成) : 도와서 이루게 함
조성(組成) : 여러 개의 요소나 성분으로 얽거나 짜서 만듦
조성(鳥聲) : = 새소리
조성(照星) : = 가늠쇠
조성(潮聲) : 1. 밀물과 썰물의 소리 2. 세상의 되어 가는 형편. 또는 시세(時勢)의 경향
조성(調性) : 주음(主音) 및 그 화음에 따라 결정되는 곡조의 성질
조성(調聲) : 소리를 낼 때에 그 높낮이와 장단을 고름
조성(?聲) : 나쁜 평판
원자탄에 의해서 전혀 새로운 상황이 조성되었다
→ 원자탄 때문에 아주 새로운 상황이 되었다
→ 원자탄 때문에 아주 새로운 흐름을 이루었다
→ 원자탄은 아주 새로운 흐름을 이루어냈다
→ 원자탄은 아주 새로운 흐름을 빚었다
《원자탄과 인류의 미래, 상》(칼 야스퍼스/김종호 옮김, 사상사, 1963) 6쪽
그런 구호의 손길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조성한 집단 난민촌에만 집중되고 있었다
→ 그런 구호 손길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마련한 난민마을에만 쏠렸다
→ 그처럼 돕는 손길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세운 난민마을에만 쏠렸다
《아체는 너무 오래 울고 있다》(박노해, 느린걸음, 2005) 49쪽
원자력발전소의 입지 지역에는 원자력 정책을 정면에서 부정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없다
→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설 곳에는 원자력 정책을 맞바로 거스를 수 있는 기운이 생길 수 없다
→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설 곳에는 원자력 정책을 곧바로 거스를 수 있는 흐름이 설 수 없다
《자연에너지 시장》(이이다 데쓰나리/푸른아시아 옮김, 이후, 2010) 266쪽
공원조성계획은 엄마들의 의식을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 공원을 짓는 계획은 엄마들 생각을 바꾸어 놓는 디딤돌이 되었다
→ 공원짓기 계획은 엄마들 마음을 바꾸어 놓는 징검돌이 되었다
→ 공원을 세우는 계획은 엄마들 마음을 바꾸어 놓는 발판이 되었다
《흙에서 자라는 아이들》(아이카와 아키코/장희정 옮김, 호미, 2011) 156쪽
방풍림이 조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 바람막이숲을 가꾸었을 수도 있다
→ 바람막이숲을 마련했을 수도 있다
《소농, 문명의 뿌리》(웬델 베리/이승렬 옮김, 한티재, 2016) 363쪽
이름이나 조성한 시기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듯해요
→ 이름이나 세운 때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듯해요
→ 이름이나 지은 때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듯해요
→ 이름이나 문을 연 때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듯해요
《엄마는 숲해설가》(장세이·장수영, 목수책방, 2016) 177쪽
아야진항의 공원은 지난해에 바위 지대였던 곳을 밀어내고 조성한 곳이다
→ 아야진항 공원은 지난해에 바위로 가득한 곳을 밀어내고 지었다
→ 아야진항 공원은 지난해에 이곳에 가득한 바위를 밀어내고 꾸몄다
《새를 기다리는 사람》(김재환, 문학동네, 2017) 2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