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마실길에 읽는 책 2017.10.14.


경복궁에 갔다. 네 식구가 일산으로 할아버지를 뵈러 마실을 왔고, 일산 할아버지는 아이들한테 경복궁 구경이랑 남산 구경을 해야 한다고 예전부터 말씀하셨다. 우리는 다 함께 대화역부터 경복궁역까지 전철을 달린다.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저곳으로, 또 저곳에서 이곳으로 오가는 경복궁. 온갖 나라 사람들이 온갖 나라 말로 수다를 나누면서 걷는 경복궁. 서울도 관광도시 가운데 하나라는 대목을 새삼스레 돌아본다. 경복궁에 있는 박물관을 돌아보는데, 전시 품목이 퍽 초라하다고 느낀다. 건물은 큼지막하지만 막상 지난 우리 발자국을 되짚도록 이끄는 품목이 얼마 없다고 할까. 유물을 건사하자면 불빛을 낮추기는 해야 하지만, 지나치게 어둡다. 진열장 옆에 붙인 알림판 글씨를 못 읽겠다. 유물 아닌 진열장 옆 알림판에 따로 작은 불을 놓든지 글씨를 키우든지 해야지. 그리고, 임금 아닌 여느 사람들 살림살이를 하나도 건사하지 않기에 초라하지는 않다. 임금을 둘러싼 유물조차 고작 이만큼밖에 못 보여주나 싶어서 초라하다고 느낀다. 기념품을 파는 곳을 둘러보는데, 비단으로 지은 연필주머니가 눈에 뜨인다. 참 멋지네. 그런데, 경복궁 기념품집에서 파는 연필주머니에 정작 연필이 안 들어간다! 연필주머니에 연필이 안 들어가다니! 이런 놀라운 우스개가 다 있을 수 있나? 겉감뿐 아니라 안감까지 비단이라 좋다만, 짜리몽땅한 연필주머니는 어찌해야 좋을까. 공깃돌을 담는 이쁘장한 주머니처럼 알뜰히 빚은 좋은 기념품이 많이 보이면서도, 이른바 살짝 모자라서 아쉬운 대목을 여러모로 느낀다. ‘파는 눈’이 아닌 ‘사서 쓸 사람 눈’으로 하나하나 만지고 돌아본다면 기념품을 어떻게 건사해야 좋을는지를 느낄 수 있으리라. 이곳에 책도 여러 권 있어서 《동궐의 우리 새》를 장만해 본다. 나는 생태 도감 책은 거의 ‘자연과생태’ 출판사에서 펴낸 책으로만 아이들한테 보여준다. 《동궐의 우리 새》라는 줄거리나 생각은 퍽 좋은데, 사진을 놓은 엮음새가 좀 아쉽고, 다른 곳이 아닌 꼭 여기 경복궁하고 창경궁 언저리에서 만날 수 있는 숱한 새하고 얽힌 이야기도 좀 적다. 동궐이라고 하는 터전을 남달리 눈여겨보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텃새하고 철새 이야기를 묶어 준다면, 생태 도감이라는 틀보다는 ‘동궐에서 만나는 새 이야기’라는 자리에서 조금 더 가벼우면서 재미있게 살펴 준다면 한결 좋을 텐데.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