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수록 收錄
50여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 시가 쉰 편 남짓 실렸다
민요를 채집하여 수록하다 → 민요를 모아서 담다
‘수록(收錄)’은 “1. 모아서 기록함. 또는 그렇게 한 기록 2. 책이나 잡지에 실음”을 가리킨다고 해요. ‘싣다’로 손볼 만하고, ‘담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한국말사전은 한자말 ‘수록’을 네 가지 더 다루는데, 넷 모두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2017.10.5.나무.ㅅㄴㄹ
수록(手錄) : = 수기(手記)
수록(水鹿) : = 말코손바닥사슴
수록(受祿) : 예전에, 관리가 나라에서 주는 녹봉을 받던 일
수록(蒐錄) : 어떤 자료를 찾아 모아서 기록함
과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정치적인 진리를 선전하는 사람
→ 과학 교과서에 실린 정치 진리를 알리는 사람
→ 과학 교과서에 담긴 정치 진리를 퍼뜨리는 사람
《바보 만들기》(존 테일러 개토/김기협 옮김, 민들레, 2005) 134쪽
조선총독부의 검열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민족의식과 관련된 단어의 경우 뜻풀이를 축소하거나 아예 수록 대상에서 빼버리는 일이 있었던 반면
→ 조선총독부 검열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겨레얼과 얽힌 낱말은 뜻풀이를 줄이거나 아예 올림말에서 빼버리는 일이 있었지만
《우리말의 탄생》(최경봉, 책과함께, 2005) 41쪽
문득 잠에서 깬 의식이 수록되어 있다
→ 문득 잠에서 깬 넋이 담겼다
→ 문득 잠에서 깬 넋이 실렸다
《감(感)에 관한 사담들》(윤성택, 문학동네, 2013) 103쪽
여기에 가봉 편이 수록되어 있다
→ 여기에 가봉 이야기가 담겼다
→ 여기에 가봉 이야기가 실렸다
《탐서의 즐거움》(윤성근, 모요사, 2016) 5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