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강구 講究


 대책 강구 → 대책 찾기 / 맞설 길 살피기

 대책은 벌써 강구 중이다 → 대책은 벌써 찾아본다

 새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새 길을 알아보아야 한다

 대응책을 강구하다 → 대응책을 세우다 / 맞설 길을 알아보다


  ‘강구(講究)’는 “좋은 대책과 방법을 궁리하여 찾아내거나 좋은 대책을 세움”을 가리킨다고 해요. 이 낱말은 ‘찾다·찾아내다·찾아보다’나 ‘세우다’로 손볼 만하고, ‘알아보다’나 ‘살피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여덟 가지 한자말 ‘강구’가 나오는데, 모두 쓸 일이 없구나 싶습니다. 2017.8.6.해.ㅅㄴㄹ



강구(江口) : 1. = 강어귀 2. = 나루

강구(江鷗) : 강에서 노는 갈매기

강구(康衢) : 사방으로 두루 통하는 번화한 큰 길거리

강구(强仇) : = 강적

강구(强求) : 1. 구하기 힘든 것을 억지로 구함 2. = 강요(强要)

강구(强寇) : 힘이 세고 강한 적이나 도둑

강구(鋼球) : 강철로 둥글게 만든 알

강구(講求) : 조사하여 구함



연산을 자연스럽게 확장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 연산을 자연스럽게 넓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 셈을 저절로 넓히는 길을 살펴야 한다

→ 셈을 저절로 넓히는 길을 찾아내야 한다

→ 셈을 저절로 넓히는 길을 살펴봐야 한다

《김민형·김태경-수학의 수학》(은행나무,2016) 130쪽


농가불안 해소를 위한 쌀소득안정장치를 강구하여

→ 농가에 걱정을 덜도록 쌀소득안정장치를 마련하여

→ 농삿집에 걱정을 덜도록 쌀소득안정장치를 찾아서

→ 농삿집에 걱정을 덜도록 쌀소득안정장치를 살펴서

→ 농삿집에 걱정을 덜도록 쌀소득안정장치를 헤아려서

《윤석원-쌀은 주권이다》(콩나물시루,2016) 83쪽


바른 궤도로 돌려놓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지

→ 바른 길로 돌려놓는 수를 찾아나서지

→ 바른 자리로 돌려놓는 길을 살피지

→ 바르게 돌려놓는 길을 헤아리지

《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드래곤볼 슈퍼 3》(서울문홧,2017) 6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