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조짐 兆朕
조짐이 심상치 않다 → 느낌이 좋지 않다 / 기운이 좋지 않다
불길한 조짐이 나타나다 → 안 좋은 늧이 나타나다
가뭄으로 야챗값이 오를 조짐이다 → 가뭄으로 남새값이 오를 듯하다
경기가 풀릴 조짐을 보인다 → 경기가 풀릴 낌새를 보인다
원윳값이 오를 조짐이 보여 → 원윳값이 오를 낌새가 보여
‘조짐(兆朕)’은 “좋거나 나쁜 일이 생길 기미가 보이는 현상”을 가리킨다 하고, 한국말사전에 “≒ 조상(兆祥)·늧”처럼 비슷한말을 싣습니다. ‘기미(幾微/機微)’는 “= 낌새”로 풀이하기에, ‘조짐·기미’는 ‘낌새’로 손질할 만합니다. 그리고 ‘조상’은 “= 조짐”으로 풀이하지만 이 한자말은 쓸 일이 없지 싶습니다. ‘늧’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은 일의 근원. 또는 먼저 보이는 빌미”로 풀이해요. 때로는 ‘늧’으로 손질할 수 있을 테고, ‘느낌’이나 ‘기운’으로 손질할 수도 있어요. ‘흐름’이나 ‘듯하다’로 손질해 보아도 됩니다. 2017.7.18.불.ㅅㄴㄹ
파란의 조짐입니다
→ 물결이 칠 듯합니다
→ 너울이 일 듯합니다
《후지무라 마리/정효진 옮김-소년소녀학급단 2》(학산문화사,2010) 97쪽
전쟁이 끝날 조짐은 보이지 않았다
→ 전쟁이 끝날 낌새는 보이지 않았다
→ 전쟁이 끝날 늧은 보이지 않았다
《구드룬 파우제방/이유림 옮김-첫사랑》(양철북,2012) 44쪽
조짐이 좋았다. 아침 햇살이 따사로웠다
→ 느낌이 좋았다. 아침 햇볕이 따사로웠다
→ 늧이 좋았다. 아침볕이 따사로웠다
《손민호-규슈 올레》(중앙북스,2015) 167쪽
자연 현상에서 조짐을 읽어냄으로써
→ 자연 현상에서 낌새를 읽어내면서
→ 자연 현상에서 기운을 읽어내면서
→ 자연 현상에서 흐름을 읽어내면서
《토머스 R.마틴/이종인 옮김-고대 그리스사》(책과함께,2015) 104쪽
며칠 전부터 슬슬 조짐이 보이더니 어제 오후부터 기어이
→ 며칠 앞서부터 슬슬 낌새가 보이더니 어제 낮부터 끝내
→ 며칠 앞서부터 슬슬 느낌이 오더니 어제 낮부터 끝끝내
《페리테일-잘한 것도 없는데 또, 봄을 받았다》(예담,2017) 8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