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 타고 넘어와 쑥 캐는 마을 할매
[삶을 읽는 눈] 먹는 쑥, 흙으로 돌아갈 쑥


  봄을 맞이한 우리 집 밥상은 날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봄은 삼월하고 사월하고 오월이 사뭇 다르다 할 만큼 며칠 사이로 빠르게 달라지거든요. 하루하루 달라지는 결을 살펴서 나물을 훑습니다. 며칠마다 새로운 나물을 하고, 며칠마다 새로운 밥을 합니다. 저녁에 먹고 남은 밥이 있으면, 이 식은 밥으로 이튿날 아침에 볶음밥을 해서 따뜻하게 먹는데, 그냥 볶음밥이 아닌 ‘쑥볶음밥’을 합니다.

  쑥떡이나 쑥국이나 쑥밥이나 쑥지짐이는 익숙한 분이 많을 텐데, 쑥볶음밥은 낯선 분이 많을 수 있어요. 볶음밥을 하면서 쑥을 넣는다는 생각을 못할 분이 많을 테니까요.

  쑥볶음밥은 쉽습니다. 볶음밥을 할 적에 볶을 여러 가지를 밑손질을 먼저 해 놓습니다. 쑥도 미리 뜯어서 잘 헹군 뒤에 체에 놓고 물을 말립니다. 센불에 당근이며 감자이며 마늘이며 함께 볶다가, 양파하고 버섯을 넣어 더 볶고, 달걀을 풀어서 바지런히 섞은 뒤 불을 살살 줄여서 쑥을 잘게 썬 뒤에 넣어서 섞습니다.

  쑥볶음밥을 하면 아이들이 놀랍니다. “쑥을 그렇게 많이 넣어?” 하고요. 빙그레 웃으며 대꾸하지요. “많아 보여? 그렇지만 숨이 죽으면 아주 적지. 이만큼도 되게 적게 넣었단다.”

  삼월에는 봄까지꽃이나 곰밤부리나 갈퀴덩굴을 잘게 썰어서 볶음밥을 할 수 있습니다. 사월에 갓 돋은 감잎이라든지 뽕잎으로도 볶음밥을 할 수 있어요. 모시나 민들레나 소리쟁이로도 볶음밥을 할 수 있습니다. 어느 풀이든 맛난 볶음밥 ‘풀양념’이 되어요.

  쑥이 한창 돋을 무렵 마을 할매들이 자꾸 우리 집 뒤꼍이나 마당을 넘봅니다. 우리 집은 농약을 한 방울도 안 치는 터라, 풀이 자라도 웬만하면 그대로 두었다고 잘 클 즈음 낫으로 톡톡 끊어서 눕히는 터라, 봄이면 온통 쑥밭이 되어요. 우리 집 쑥을 몰래 가져가려는 마을 할매가 많습니다.

  마을 할매는 허리가 구부정한 채 걸으시면서도 밭을 가르는 돌담을 타고 넘어와서 쑥을 몰래 캐려 합니다. 마을 할매는 이녁 밭에서는 쑥을 못 캐지요. 쑥을 따로 키우지도 않을 뿐더러, 할매 밭은 온통 농약투성이일 터이니 쑥을 섣불리 캘 수도 없습니다.

  우리 집에 아무 말도 안 하고 담까지 타고 몰래 들어와서 쑥을 캐는 할매를 말립니다. “할매, 여기는 저희 밭이에요. 밭에 호밀씨를 잔뜩 뿌려서 호밀이 이렇게 올라왔는데 호밀을 마구 밟으면서 쑥을 함부로 뜯으시면 안 돼요.” “쑥 저렇게 놔두면 누가 먹나? 좀 가져가면 안 되나?” “안 되지요. 저희가 먹을 쑥을 할매들이 몰래 다 캐 가면 저희는 뭘 먹어요? 좀 먹을 만하게 크면 몰래 들어와서 샅샅이 캐 가니 저희는 못 먹어요. 게다가 할매가 선 그 자리에는 옥수수를 심었는데, 옥수수싹이 다 밟혀요. 생각해 보세요. 제가 할매 밭에 몰래 들어간 적 있나요? 제가 할매 밭에 몰래 들어가서 저 마늘이나 배추 몰래 뽑아 가도 되겠어요? 이렇게 몰래 마구 캐 가시면 안 돼요. 저희한테서 쑥을 얻고 싶으면 얘기하세요. 그러면 저희가 드릴 수 있는 만큼 저희가 캐서 드릴 테니까요.”

  저희는 쑥을 캐서 먹기도 하지만, 쑥꽃이 필 때까지 그냥 두기도 합니다. 꽃이 피는 쑥은 꽤 크게 자랍니다. 쑥꽃이 피고 쑥씨가 맺는 쑥대는 잘 베어서 말려 놓으면 쑥불을 피울 적에 아주 좋습니다. 씨앗을 맺은 쑥대를 말리면, 쑥대가 마르면서 나는 냄새로도 무척 향긋하지요. 잘 마른 쑥대를 태워서 쑥불을 피우면 모깃불도 되고 집안에 고운 내음이 퍼집니다. 쑥불을 태우고 나온 재를 밭에 주면 흙이 좋아해요. 따로 쑥불을 피우지 않고 쑥대를 베어 눕혀 놓으면 다른 풀이 거의 안 돋기도 합니다.

  먹을 쑥은 철을 살펴서 알맞게 먹으면서 누립니다. 굳이 안 먹고 두는 쑥은 쑥불을 피우는 쑥대 구실을 합니다. 쑥불을 안 피우고 그대로 베어 놓기만 해도 땅을 살리는 거름 구실을 하지요.

  마을 할매는 저희처럼 쑥대나 다른 풀이 흙으로 저절로 돌아가서 거름이 되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그냥 농약을 치고 비료를 칩니다. 저희는 이 땅에서 아이들이 맨발로 뛰어놀고 나무를 타며 놀기를 바라기에 쑥을 고이 건사하면서 알맞게 누립니다.

  낮밥으로 쑥지짐이를 합니다. 두 아이는 쑥지짐이를 석 장을 먹습니다. 두 장을 더 해서 접시에 옮깁니다. 나중에 아이들이 주전부리로 먹도록 둡니다. 여기에 석 장을 더 합니다. 쑥지짐이 석 장은 마을회관으로 들고 갑니다. 낮밥을 자시고 커피 한 잔을 마시며 텔레비전을 보며 쉬는 마을 할매들한테 주전부리로 쑥지짐이를 드립니다. “이 귀한 것을 주시오? 이녁 아이들 주셔야 하지 않소?” 하고 말씀하시는 마을 할매들한테 “봄이니까 봄맛으로 했어요. 저희도 배불리 먹었어요. 주전부리로 드셔요.” “그라오? 그러면 고맙게 먹겠소. 자 다들 한 점씩 잡솨 봐. 맛나네.” 2017.4.24.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살림노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퐁당살롱 2017-04-24 16: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쑥을 아이들과 마을 어르신들과 누리며
건강도 봄도 챙기시네요
사진으로 눈도 즐겁고
글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

숲노래 2017-04-24 20:44   좋아요 0 | URL
할머니들이 담타기를 안 하시면서
서로 아끼며 즐거이 나누는 살림으로
차츰 달라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에요.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