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일화적
일화적 기억 → 이야기 같은 기억 / 이야기로 이루는 기억 / 짜임새 있는 기억
일화적 경험 → 이야기 같은 경험 / 이야기로 이루는 경험 / 짜임새 있는 경험
‘일화적’은 한국말사전에 없습니다. ‘일화(逸話)’만 한국말사전에 나오고,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아니한 흥미 있는 이야기”를 가리켜요. 다만 영어사전을 살피면 ‘anecdotal’을 “입증되지 않은, 일화적인”으로 풀이하고, ‘episodic’을 “1. 가끔씩 발생하는 2. (이야기 등이) 여러 삽화들로 된, 단편적인 사건들로 이뤄진”으로 풀이합니다. 아무래도 이런 영어사전 풀이말은 일본사전을 흉내내었지 싶습니다. 한국사람 나름대로 한국말로 풀어내거나 밝힌 말마디는 아니지요. ‘일화’는 ‘이야기’를 가리켜요. 신나는 이야기라면 “신나는 이야기”라 하면 되고요. ‘일화적’이라는 말마디는 으레 학문하는 자리에서 쓰는구나 싶은데, 거의 ‘이야기’라는 낱말로 손질할 만하고, 때로는 ‘짜임새’라는 낱말로 손볼 수 있습니다. 꼭 한자말 ‘일화’를 쓰고 싶다면 “일화 같은”으로 손보면 되는데, 이는 “이야기 같은”이라는 뜻이에요. 2017.3.26.해.ㅅㄴㄹ
우리 중 누구도 단 하나의 인격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기에 우리의 경험은 일화적 성격을 띤다
→ 우리 가운데 누구도 오직 한 가지 인격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기에 우리 경험은 이야기 같은 성격이다
→ 우리 누구도 오직 한 가지 마음씨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기에 우리가 겪는 일은 이야기라 할 만하다
→ 우리 누구도 오직 한 가지 마음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기에 우리가 겪는 일은 이야기하고 같다
《피터 왓슨/정지인 옮김-무신론자의 시대》(책과함께,2016) 743쪽
그러나 일화적 증거로는 충분하지 않다
→ 그러나 이런 이야기는 증거로 넉넉하지 않다
→ 그러나 이런 얘기는 증거로 삼을 만하지 않다
《필립 T.호프먼/이재만 옮김-정복의 조건》(책과함께,2016) 13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