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으로서 책을 읽는 뜻
삼례에 있는 ‘동상연구소’에서 《인문예술》이라는 ‘연간 무크지’를 냈습니다. 아직 글삯은 못 받았지만 책은 이쁘게 잘 나왔습니다. 이렇게 이쁘게 잘 나온 책이니 굳이 글삯은 안 받고 자원봉사를 했다고 기쁘게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저도 이 이쁜 책에 글을 하나 실었습니다. 저는 《영리한 공주》라고 하는 아주 멋진 어린이문학을 바탕으로 ‘낮에 호미 쥐고 밤에 책을 드는 살림’ 이야기를 써 보았어요. 원고지로 100장에 이르는 긴 글인데, 글을 다음처럼 마무리지었습니다. 우리가 사람으로서 책을 읽는 뜻이란 바로 이와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2017.3.11.흙.ㅅㄴㄹ
사람이 사람인 까닭은 언제 어디에서나 신나게 춤을 추고 노래하면서 활짝 웃고 어깨동무할 수 있는 착하고 참다우며 고운 숨결이 흐르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아이들이 얼마나 잘 놀고 얼마나 춤을 잘 추며 얼마나 노래를 잘 부르고 얼마나 웃음을 잘 지으면서 동무하고 손을 맞잡는가를 새삼스레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요. 우리 어른들도 ‘노래방이 아니어’도 멍석만 있으면, 또 멍석 없이 마당만 있으면, 또 멍석도 마당도 아니어도 논두렁이나 오솔길에 서기만 해도 춤사위가 흐드러지고 노랫결이 피어날 수 있습니다.
《영리한 공주》라는 조그마한 어린이책에 나오는 ‘똑똑한 가시내’는 스스로 모든 삶을 배웠고, 모든 살림을 지으며, 모든 사랑을 나누어요. 이 똑똑한 가시내는 세 가지 꿈을 들어 준다는 말에 ‘물감’하고 ‘바늘’하고 ‘종이’를 바랐어요. 그림을 그리고 옷을 지으며 이야기를 써요. 우리한테는 무엇이 있어야 할까요? ‘귀농자금이 더 많이 있어야’ 할까요? ‘자가용이나 농기계를 더 많이 갖추어야’ 할까요? ‘인문 지식이나 철학 지식을 더 많이 머릿속에 담아야’ 할까요?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