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파괴 破壞
파괴 본능 → 부수는 본능 / 부수고픈 마음
파괴 행위 → 부수는 짓 / 깨뜨리는 짓
격심한 파괴를 당했다 → 크게 부숴졌다 / 크게 망가졌다
환경 파괴 → 환경 부수기 / 환경 망가뜨리기 / 환경 깨뜨리기
생태계의 파괴 → 생태계 깨뜨리기 / 생태계 부수기
건물이 파괴되다 → 건물이 부숴지다 / 건물이 무너지다
질서가 파괴되다 → 질서가 무너지다 / 질서가 깨지다
생태계를 파괴하다 → 생태계를 무너뜨리다 / 생태계를 깨뜨리다
‘파괴(破壞)’는 “1. 때려 부수거나 깨뜨려 헐어 버림 2. 조직, 질서, 관계 따위를 와해하거나 무너뜨림”을 가리킨다고 해요. 이 말뜻에 나오듯이 ‘부수다’나 ‘깨뜨리다’나 ‘헐다’나 ‘무너뜨리다’로 손질하면 됩니다. 이밖에 ‘망가뜨리다’나 ‘허물다’나 ‘깨다’로 손질할 수 있어요. 2016.12.16.쇠.ㅅㄴㄹ
이스라엘은 매년 수백 채의 불법 건물을 파괴한다
→ 이스라엘은 해마다 불법 건물을 수백 채 부순다
→ 이스라엘은 해마다 불법 건물을 수백 채 헌다
→ 이스라엘은 해마다 불법 건물을 수백 채 허문다
《조 사코/함규진 옮김-팔레스타인》(글논그림밭,2002) 81쪽
대부분 환경이 파괴되어 황폐화된 곳이 많습니다
→ 거의 다 환경이 무너져서 거칠어진 곳이 많습니다
→ 거의 모두 환경이 망가져서 메말라버린 곳이 많습니다
《유상준·박소영-풀꽃편지》(그물코,2013) 18쪽
개발 방법 자체가 자원과 생태계를 망치거나 파괴하기도 합니다
→ 개발 방법이 바로 자원과 생태계를 망치거나 무너뜨리기도 합니다
→ 개발 방법부터 자원과 생태계를 망치거나 깨뜨리기도 합니다
《얀 리고/이충호 옮김-바다가 아파요》(두레아이들,2015) 14쪽
환경이 파괴되는 것과 가난한 사람의 수가 늘어나는 현상이 관계가 있다는 것도
→ 환경이 무너지는 것과 가난한 사람 수가 늘어나는 흐름이 얽힌다는 것도
→ 환경이 망가지는 것과 가난한 사람 수가 늘어나는 흐름이 이어지는 것도
《반다나 시바·마리나 모르푸르고/김현주 옮김-씨앗이 있어야 우리가 살아요》(책속물고기,2016) 11쪽
계속되는 개발과 편의시설 이용으로 서식처가 파괴되고 소실되는 것을
→ 잇따른 개발과 편의시설 때문에 삶자리가 무너지고 사라지는 것을
→ 끊임없는 개발과 편의시설 때문에 삶터가 망가지고 사라지는 것을
《정상우·배연재·안승락·백운기-잠자리 표본 도감》(자연과생태,2016) 19쪽
자연을 파괴하면 인간이 살 수 없다는 것을 다들 잘 알고 있다
→ 자연을 망가뜨리면 사람이 살 수 없는 줄 다들 잘 안다
→ 자연을 무너뜨리면 사람이 살 수 없는 줄 다들 잘 안다
《하이타니 겐지로/햇살과나무꾼 옮김-하이타니 겐지로의 생각들》(양철북,2016) 12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