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834 : 빚 부채
가정이 가진 빚을 가계 부채라고 합니다
→ 집에서 진 빚을 ‘집빚’이라고 합니다
→ 여느 집에서 진 빚을 ‘집빚’이라고 합니다
→ 여느 살림집에서 진 빚을 ‘살림빚’이라고 합니다
빚 : 1. 남에게 갚아야 할 돈. 꾸어 쓴 돈이나 외상값 따위를 이른다 2. 갚아야 할 은혜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채(負債) : 1. 남에게 빚을 짐. 또는 그 빚 2. [경제] 제삼자에게 지고 있는 금전상의 의무
한자말 ‘부채’는 ‘빚’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경제학에서는 한자말 ‘부채’만 전문 낱말로 삼을 뿐, 한국말 ‘빚’은 전문 낱말로 안 삼아요. 요새는 “가계 빚”이라는 말마디도 제법 쓰는데, ‘가계(家計)’는 ‘집살림’을 가리켜요. 곧 ‘가계 빚 = 집살림 빚’인 얼거리요, 이를 ‘집살림빚·집빚·살림빚’으로 쉽게 풀어내어 쓸 수 있어요. 나라에서 빚을 질 적에 한자말로는 “국가 부채”라 하지만, 쉬운 여느 말로는 흔히 ‘나라빚’이라 하지요. 나라는 ‘나라빚’이고, 여느 집은 ‘집빚’이에요. 살림을 꾸리다가 빚을 져야 한다는 뜻을 나타내려면 ‘살림빚’이라 할 수 있을 테고요. 2016.12.5.달.ㅅㄴㄹ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가정이 여러 가지 형태로 가진 빚을 가계 부채라고 합니다
→ 대한민국에 있는 모든 살림집이 여러 가지로 진 빚을 집빚(살림빚)이라고 합니다
《이월곡-위! 아래!》(분홍고래,2016) 8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