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절대다수의
절대다수의 지지를 받다 → 거의 모두한테서 지지를 받다
절대다수의 힘으로 → 거의 모든 사람들 힘으로
절대다수의 사용자는 → 거의 모든 사용자는
절대다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 거의 모두 반대하는데에도
‘절대다수(絶對多數)’는 “전체 가운데서 거의 대부분의 수”를 가리킨다고 해요. 그런데 ‘대부분(大部分)’은 “거의 모두”를 가리키니 이 말풀이는 겹말풀이예요. ‘거의 대부분의 수 = 거의 거의 모든 수’가 될 테니까요. 아무튼 ‘절대다수’이든 ‘대부분’이든 “거의 모두”를 뜻할 뿐이니, 이 말대로 손질해 줍니다. “거의 다”로 손보아도 되고요. 2016.11.28.달.ㅅㄴㄹ
전세계 절대다수의 과학자들이 군사기관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 온누리 거의 모든 과학자들이 군사기관을 돕는 연구를 하는데
→ 온누리 과학자 거의 모두가 군사기관을 돕는 연구를 하는데
《데이비드 스즈키·오이와 게이보/이한중 옮김-강이, 나무가, 꽃이 돼 보라》(나무와숲,2004) 57쪽
절대다수의 성노동자들에게 성노동은 생계와 직결된 문제입니다
→ 거의 모든 성노동자들한테 성노동은 먹고사는 일과 잇닿습니다
→ 성노동자들은 거의 다 성노동이 먹고사는 일과 맞닿습니다
《연희·밀사·지승호-성노동자, 권리를 외치다》(철수와영희,2015) 22쪽
절대다수의 학생들이 노동자, 그중에서도 비정규직으로 살아갈 운명인 마당에
→ 거의 모든 학생들이 노동자, 이 가운데에서도 비정규직으로 살아갈 마당에
→ 학생들은 거의 다 노동자, 이 가운데에서도 비정규직으로 살아갈 마당에
《한홍구-한홍구의 청소년 역사 특강》(철수와영희,2016) 24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