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474 : 시도 때도 없이
시도 때도 없이
→ 때를 가리지 않고
→ 아무 때나
→ 자주
→ 언제나
시(時) : 1. 사람이 태어난 시각 2. 차례가 정하여진 시각을 이르는 말 3.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
‘때’를 가리키는 한자 ‘시(時)’입니다. “시도 때도 없다”처럼 쓰는 말마디는 “때도 때도 없다”나 “시도 시도 없다” 꼴인 셈이에요. 힘주어 말하려고 쓴다 할 수 있지만, 이보다는 겹말이 된다고 해야지 싶습니다. 아무래도 “때도 때도 없다”나 “시도 시도 없다”처럼 말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때를 가리지 않고”나 “아무 때나”로 손볼 만하고 ‘자주’나 ‘으레’나 ‘흔히’나 ‘늘’이나 ‘언제나’로 손볼 수 있습니다. 2016.9.15.나무.ㅅㄴㄹ
온갖 고기들이 시도 때도 없이 상에 오르는 흔전만전 육식의 시대가 낳은
→ 온갖 고기들이 아무 때나 상에 오르는 흔전만전 육식 시대가 낳은
→ 온갖 고기들이 때를 가리지 않고 상에 오르는 흔전만전 육식 시대가 낳은
《황풍년-전라도, 촌스러움의 미학》(행성B잎새,2016) 2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