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치아 齒牙
치아가 가지런하다 → 이가 가지런하다
치아 관리의 첫걸음 → 이를 돌보는 첫걸음
치아를 뽑다 → 이를 뽑다
유아 치아 → 어린이 이
‘치아(齒牙)’는 “‘이’를 점잖게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만, 이 같은 말풀이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치아’는 ‘이’를 가리키는 한자말일 뿐입니다. 한국말은 ‘이’하고 ‘이빨’입니다. 여느 자리에서는 ‘이’를 쓰고, 힘주어 말한다거나 짐승을 말할 적에는 ‘이빨’을 써요. 그리고 ‘치약·칫솔’처럼 ‘齒’라는 한자를 붙이기만 하는데, ‘이약·잇솔’처럼 새롭게 쓸 수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는 ‘치아(稚兒)’라는 한자말도 나오고, “= 치자(稚子)”로 풀이합니다. ‘치자’는 “1. 열 살 전후의 어린아이 2. 나이 어린 아들”을 가리킨다는군요. 그러나 ‘稚兒’나 ‘稚子’ 같은 한자말을 쓸 일은 없다고 느낍니다. 2016.9.8.나무.ㅅㄴㄹ
사진 속 인물이 치아를 드러내고 활짝 웃을 필요는 없다
→ 사진에 나오는 사람이 이를 드러내고 활짝 웃어야 하지는 않다
→ 사진에 찍힌 사람이 이빨을 드러내고 활짝 웃을 까닭은 없다
《조세현-조세현의 얼굴》(앨리스,2009) 75쪽
검은 치아 흰 치아를 차례로 올려놓는다
→ 검은 이 흰 이를 차례로 올려놓는다
→ 검은 이빨 흰 이빨을 차례로 올려놓는다
《황학주-사랑할 때와 죽을 때》(창비,2014) 94쪽
멋진 치아로 변한다
→ 멋진 이로 바뀐다
→ 멋진 이빨로 바뀐다
《파블로 네루다/고혜선 옮김-모두의 노래》(문학과지성사,2016) 3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