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인간의


 인간의 조건 → 사람다운 조건 / 사람이 될 조건

 인간의 품격 → 사람다운 품격 / 사람 된 바탕

 인간의 역사 → 사람 역사 / 사람이 살아온 역사 / 사람이 걸어온 자취

 인간의 길 → 사람이 갈 길 / 사람길 / 사람다운 길

 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 사람 한계에 도전하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 → 사람 마음은 착하다 / 사람은 마음바탕이 착하다


  ‘인간(人間)’은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이라고 합니다. ‘사람’은 “생각을 하고 언어를 사용하며, 도구를 만들어 쓰고 사회를 이루어 사는 동물”이라고 해요. 한자말은 ‘인간’이고, 한국말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사람’으로 손질해서 쓰면 되는데, 꼭 ‘인간’을 쓰려 한다면 ‘-의’를 덜면서 “인간 조건”이나 “인간 품격”이나 “인간 역사”나 “인간 한계”나 “인간 본성”처럼 쓸 수 있어요. “인간의 길”은 “인간이 걷는 길”처럼 쓸 수 있겠지요. 2016.8.19.쇠.ㅅㄴㄹ



인간의 언어가 여러 개라는 것이겠죠

→ 사람들 말이 여럿이라는 것이겠죠

→ 사람이 쓰는 말이 여럿이라는 얘기이겠죠

→ 말이 여럿이라는 얘기이겠죠

《마루야마 마사오·가토 슈이치/임성모 옮김-번역과 일본의 근대》(이산,2000) 36쪽


인간의 학대를 받아 왔지만

→ 사람들한테서 괴롭힘을 받아 왔지만

→ 사람들한테 시달려 왔지만

→ 사람들한테 들볶여 왔지만

→ 사람들이 괴롭혀 왔지만

→ 사람들이 마구 잡아 죽여 왔지만

《레이첼 카슨/김선영 옮김-잃어버린 숲》(그물코,2004) 73쪽


인간의 힘으로는

→ 사람 힘으로는

→ 사람들 힘으로는

《호시노 미치오/김욱 옮김-노던 라이츠》(청어람미디어,2007) 95쪽


인간의 모습으로 살아가기 위한

→ 사람다운 모습으로 살고 싶은

→ 사람답게 살고 싶은

→ 사람으로 살고 싶은

《하종강-길에서 만난 사람들》(후마니타스,2007) 118쪽


인간의 시야와 가장 비슷한

→ 사람 눈과 가장 비슷한

→ 사람 눈길과 가장 비슷한

→ 사람이 보는 눈과 가장 비슷한

→ 사람이 눈으로 볼 때와 가장 비슷한

《클레망 셰루/정승원 옮김-앙리 카르티에브레송》(시공사,2010) 90쪽


인간의 눈이 감지하는 색은

→ 사람 눈이 느끼는 빛깔은

→ 사람이 눈으로 느끼는 빛은

《장 가브리엘 코스/김희경 옮김-색의 놀라운 힘》(이숲,2016) 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