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말은 딱히 안 했지만
시골에서 살며 방송은 하나도 보거나 듣지 않기 때문에 어제 국악방송에서 인터뷰 방송이 나왔어도 듣지 못합니다. 일부러 안 듣는다기보다 저녁 아홉 시에 흐르는 방송은 도무지 들을 수 없어요. 아이들을 시골집에서 재우는 때는 저녁 여덟 시 안팎이에요. 나도 아이들을 재우면서 몹시 고단하기에 으레 같이 잠들지요. 도시에서는 저녁 여덟 시나 아홉 시는 팔팔한 때라고 할 테지만, 시골에서는 그야말로 깊은 밤으로 접어드는 어귀랍니다.
오늘 낮에는 인터넷 기사가 하나 나왔어요. 지난주에 전화로 나눈 이야기를 갈무리해서 나온 기사인데, 방송국에서 요모조모 편집해서 나왔어요. 기사를 보면서 두 가지 생각이 들었지요. 하나는 ‘내가 안 쓰는 말투로 왜 이렇게 내 말을 바꾸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다른 하나는 ‘내 말투를 온통 얄궂게 바꾸었지만 줄거리는 알맞게 잘 간추렸네’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녁에 아이들을 겨우 재우고 부엌일도 마무리지은 뒤 가만히 생각에 잠깁니다. 나는 집밖일도 도맡지만 집안일도 도맡는 아버지입니다. 집안하고 집밖에서 벌어지는 일을 모두 혼자서 도맡아요. ‘그럴 만하니’까 이처럼 집 안팎 살림을 꾸리는데, 아무튼 이 같은 대목을 한국 사회에서 이야기하기는 아직도 어렵지만 열 해 앞서를 헤아리니 그야말로 대단히 많이 나아졌구나 싶어요.
나는 내 일을 오직 ‘전문가’로 하기를 바라지 않아요. 어떤 일이든 누구나 전문가로 해야 한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우리는 어떤 일을 하든 즐겁게 해야 한다고 느껴요. 내가 한국에서 몇 사람 없는 ‘사전 편집자’로 일하지만,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이 몇 천만 사람 가운데 몇 사람이 없더라도 내가 이 일만 붙잡느라 ‘집안일을 하나도 안 해도 된다’고 느끼지 않아요. 오히려 나는 집안일을 도맡으면서 ‘한국말사전 엮는 일’을 더 재미나고 알차게 할 수 있다고 느끼곤 해요.
그래서 신문사나 방송사에서 나한테 연락을 해서 이런저런 말을 여쭐 적에 늘 이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막상 이런 이야기가 제대로 매체를 타는 일은 아직 없더군요. ‘집안일 다 하면서 국어사전 엮는 아버지’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살림을 손수 가꾸면서 말을 살찌우는 길을 새롭게 배우는 어버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은데, 아직 기자나 피디나 방송작가 분들은 이 대목을 눈여겨보시지 못하는 듯해요. 그리고 나는 늘 한 가지를 덧붙이지요. 아버지가 집안일하고 집밖일을 몽땅 도맡는데 아이들이 참 잘 놀거든요. 나는 우리 아이들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고마운지 몰라요. 늘 새로우면서 재미나게 놀이하는 아이들이 ‘새로운 국어사전을 엮는 가장 큰 바탕’이 된다는 대목을 말하기는 하는데, 참말로 늘 말하지요, 그런데 이제껏 라디오나 신문이나 방송에서 이 대목이 제대로 나온 적은 없어요. 우리 집 아이들이 나중에 더 커서 저희 아버지하고 얽힌 기사를 찾아보다가 부디 저희 아버지가 저희(아이들)를 함부로 빼놓고 말하지 않았는데, 그 대목을 잘 헤아려 주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참말 그렇거든요. 나는 늘 ‘인터뷰에서’ 이 대목을 힘주어 말해요. “우리 아이들이 언제나 재미나고 신나게 놀며 노래하고 웃기에 이 살림이 바탕이 되어 제가 하는 일도 씩씩하고 즐겁게 할 수 있어요.” 하고 말하거든요. 그런데 이 말은 아직 기사로 나온 적이 없답니다. 2016.7.30.흙.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아버지 육아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