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말 손질 405 : 꽃을 헌화
난초라도 헌화해야 한다
→ 난초라도 바쳐야 한다
→ 난초라도 드려야 한다
헌화(獻花) : 주로 신전이나 영전에 꽃을 바침
‘헌화’라는 한자말보다는 ‘꽃바치기’라는 한국말을 쓰자고 하는 분이 꾸준히 늘어납니다. 말 그대로이기 때문입니다. 꽃을 바치는 일을 하니 ‘꽃바침’이나 ‘꽃바치기’라 하지요. “꽃을 헌화하다”도 겹말이지만, “난초를 헌화하다”나 “국화를 헌화하다”도 겹말입니다. “난초를 바치다”나 “국화를 바치다”처럼 말해야 올바릅니다. ‘바치다’ 말고도 ‘올리다’나 ‘드리다’를 쓸 만합니다. 수수한 자리에서는 ‘보내다’나 ‘주다’를 쓰면 됩니다. 2016.7.5.불.ㅅㄴㄹ
협의회에 대한 고마움의 표시로 난초라도 헌화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협의회가 고마워서 난초라도 바쳐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협의회가 고맙기에 난초라도 드려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협의회가 고마운 나머지 난초라도 올려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협의회가 고맙다는 뜻으로 난초라도 보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몰리 굽틸 매닝/이종인 옮김-전쟁터로 간 책들》(책과함께,2016) 13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