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견고 堅固


 견고한 제방을 쌓다 → 단단히 둑을 쌓다

 아무리 견고한 참나무라도 → 아무리 단단한 참나무라도

 견고하게 자기의 신념을 지켰다 → 단단하게 제 믿음을 지켰다

 신념을 견고히 굳히다 → 믿음을 굳히다


  ‘견고(堅固)하다’는 “1. 굳고 단단하다 2. 사상이나 의지 따위가 동요됨이 없이 확고하다”를 뜻한다 하고, 한국말사전에는 ‘뇌호(牢乎)하다·견뢰(堅牢)하다·공고(鞏固)하다·완뢰(完牢)하다’ 같은 비슷한말을 싣습니다. 그러나 ‘굳다’나 ‘단단하다’ 같은 한국말을 쓰면 넉넉하니, 여러 가지 한자말을 굳이 비슷한말로 다루면서 한국말사전에 실어야 하지는 않다고 느낍니다. ‘확고(確固)하다’는 “태도나 상황 따위가 튼튼하고 굳다”를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 ‘견고’는 첫째 뜻이나 둘째 뜻 모두 ‘굳다’를 가리키거나 ‘단단하다·튼튼하다’를 나타내는 셈입니다.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견고(譴告)’라는 한자말을 “1. 잘못이나 허물을 꾸짖는 뜻을 알림 2. 귀신이 천변지이를 내려 인간을 꾸짖음”을 뜻한다면서 싣지만, 이 한자말도 쓸 일이 없다고 느낍니다. 2016.6.22.물.ㅅㄴㄹ



견고한 작품 세계를 갖춘 작가라도 표절의 유혹을 피할 수 없었을까

→ 단단한 작품 세계를 갖춘 작가라도 표절이란 유혹을 벗어날 수 없었을까

→ 작품 세계가 튼튼한 작가라도 표절이란 유혹에서 헤어날 수 없었을까

《정문순-한국문학의 거짓말》(작가와비평,2011) 31쪽


우리를 바르고 견고하게 설 수 있게 해 주는 어떤 것 말입니다

→ 우리를 바르고 튼튼하게 설 수 있게 해 주는 어떤 것 말입니다

→ 우리를 바르고 단단하게 설 수 있게 해 주는 어떤 것 말입니다

《폴 오스터/심혜경 옮김-글쓰기를 말하다》(인간사랑,2014) 220쪽


열리지 않는 문은 벽보다 견고하다

→ 열리지 않는 문은 벽보다 단단하다

→ 열리지 않는 문은 벽보다 굳다

《최상해-그래도 맑음》(문학의전당,2016) 9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