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특유의


 라면 특유의 맛 → 라면에만 있는 맛 / 라면에 남다른 맛 / 라면이라야 즐기는 맛

 바이올린 특유의 가냘픈 음색 → 바이올린다운 가냘픈 소릿결

 남도 특유의 억센 억양 → 남도에만 있는 억센 말씨 / 남도다운 억센 말결

 지하실 특유의 썰렁한 냉기 → 지하실다운 썰렁하고 찬 기운

 장사꾼 특유의 너스레 → 장사꾼다운 너스레

 특유의 향이 좋다 → 남다른 냄새가 좋다

 한국 특유의 문화 → 한국다운 문화 / 한국에만 있는 문화

 이 마을 특유의 이야기 → 이 마을에만 있는 이야기

 겨자 특유의 맛 → 겨자다운 맛 / 겨자에만 있는 맛

 특유의 아름다운 미소 → 남달리 아름다운 웃음 / 유난히 아름다운 웃음


  ‘특유(特有)’는 “(‘특유의’ 꼴로 쓰여) 일정한 사물만이 특별히 갖추고 있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특별히 갖춘”을 가리키는 셈인데, ‘특별(特別)’은 “보통과 구별되게 다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통(普通)’은 “특별하지 아니하고 흔히 볼 수 있어 평범함”을 가리킨다고 하니, 한국말사전 뜻풀이는 겹말입니다. ‘특별 → 보통과 다름’이라 하는데, ‘보통 → 특별하지 않음’이라고 하니까 말이지요. 이러한 뜻을 헤아린다면, 한국말로 ‘남다르다’나 ‘유난하다’를 알맞게 쓸 수 있습니다. 때로는 ‘답다(다운)’나 ‘같다’를 넣어서 손볼 만하고, 때로는 ‘빼어나다’나 ‘뛰어나다’를 넣어서 손볼 만합니다. 2016.6.20.달.ㅅㄴㄹ



노년 특유의 풍요로운 정신 세계

→ 나이 든 사람다운 넉넉한 정신 세계

→ 늙은 나이에만 보이는 넉넉한 마음자리

→ 늘그막다운 너그러운 마음밭

→ 늙은 사람한테서 엿보는 너그러운 마음결

《요시야마 노보루/김동섭 옮김-늙음은 하느님의 은총》(성바오로출판사,1991) 130쪽


영국 특유의 하얀 해안선

→ 영국에만 있는 하얀 바닷가

→ 영국에서만 볼 수 있는 하얀 바닷가

→ 영국에서만 보는 하얀 바닷가

→ 영국에 남달리 있는 하얀 바닷가

《요코가와 세쯔코-토토로의 숲을 찾다,이후(2000)> 79쪽


프랑스 인 특유의 검약한 생활

→ 프랑스사람다운 수수한 삶

→ 프랑스사람답게 알뜰한 살림

→ 프랑스사람답게 살뜰한 살림

《시튼/장석봉 옮김-위대한 늑대들》(지호,2004) 128쪽


얀은 그때마다 특유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 얀은 그때마다 남다른 재주를 보여주었다

→ 얀은 그때마다 빼어난 힘을 보여주었다

→ 얀은 그때마다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었다

《시튼/장석봉 옮김-위대한 늑대들》(지호,2004) 190쪽


와인 특유의 향

→ 와인에 남달리 있는 냄새

→ 포도술다운 남다른 냄새

→ 포도술에만 감도는 냄새

→ 포도술에만 있는 냄새

→ 포도술다운 내음

→ 남다른 포도술 내음

《레너드 위벌리/박중서 옮김-약소국 그랜드 펜윅의 뉴욕 침공기》(뜨인돌,2005) 18쪽


마술사 특유의 냉철한 우아함

→ 마술사다운 차분한 아름다움

→ 마술사답게 차분한 아름다움

→ 마술사로서 차분한 아름다움

《R.O.블레크먼/박중서 옮김-성모의 곡예사》(샨티,2006) 140쪽


특유의 비뚤비뚤한 그림체로 묘사해

→ 남달리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나타내

→ 유난히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담아

→ 그처럼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담아

→ 놀랍도록 비뚤비뚤한 그림결로 그려

《R.O.블레크먼/박중서 옮김-성모의 곡예사》(샨티,2006) 140쪽


사람이 살지 않는 집 특유의 황폐하고 쓸쓸한 기운

→ 사람이 살지 않는 집다운 거칠고 쓸쓸한 기운

→ 사람이 살지 않는 집 같은 메마르고 쓸쓸한 기운

《요시모토 바나나/김난주 옮김-아르헨티나 할머니》(민음사,2007) 28쪽


그 특유의 색을 유지하면서 기분 좋게 하는 단맛

→ 그 남다른 빛을 지키면서 즐겁게 하는 단맛

→ 그 유난한 빛깔을 지키면서 즐겁게 하는 단맛

→ 그 풀에만 감도는 빛깔을 지키면서 즐겁게 하는 단맛

《이상권-야생초 밥상》(다산책방,2015) 48쪽


카메라를 움켜쥐고 촬영할 때는 특유의 자세가 나옵니다

→ 사진기를 움켜쥐고 찍을 때는 저마다 다른 몸짓이 나옵니다

→ 사진기를 움켜쥐고 찍을 때는 사람마다 다른 몸짓이 나옵니다

《양해남-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눈빛,2016) 13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