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디디며 헛짚으며 모악시인선 1
정양 지음 / 모악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시를 노래하는 시 114



벼슬자리도 서울살이도 모두 헛걸음이라는

― 헛디디며 헛짚으며

 정양 글

 모악 펴냄, 2016.4.4. 8000원



  부옇게 동이 트는 기운을 느끼면서 새벽에 일어납니다. 시계가 없어도 새벽을 알고 아침을 느낍니다. 딱히 시계에 기대지 않으면서 하루를 열고, 아침밥을 지으며, 밭자락을 살피다가, 하루 살림을 되새깁니다.


  어버이가 시계에 기대지 않으면서 지내니 아이들도 시계를 바라보지 않습니다. 어버이가 시계를 따지지 않으면서 하루 살림을 지으니 아이들도 그저 하루 내내 새롭게 놀이를 지으면서 누립니다. 이 같은 시골살림을 꾸리면서 옛사람 발자국을 짚어 봅니다.


  어수선한 벼슬자리나 서울살이를 등지고 시골로 가는 사람이 제법 있어요. 많지는 않아도 예부터 꾸준히 있습니다. 벼슬이나 서울을 등지며 시골에서 지내는 삶이란 무엇일까요. 벼슬이나 서울을 바라보며 지내는 삶이란 또 무엇일까요.



줄 틀리는 아이들을 단속하면서 / 뭉치자 삼천만 깨뜨리자 삼팔선을 선창하면 / 아이들은 머리를 흔들어가며 따라 외쳤다 / 그것들이 모두 통렬한 반미구호라는 걸 / 그걸 만든 친미정권도 선생님도 / 까맣게 모르던 1948년 / 내 국민학교 2학년 때였다 (깨뜨리자 삼팔선)



  1942년에 태어나 교사로 오랫동안 일했다고 하는 정양 님이 쓴 시집 《헛디디며 헛짚으며》(모악,2016)를 조용히 읽습니다. 이 시집을 펴낸 출판사는 전라북도 전주에 있다고 합니다. 여러 시인하고 소설가 들이 모여서 뜻과 돈을 모아서 출판사를 작게 열었다고 해요. 전북 완주군에 모악산이 있다는데, 모악 출판사는 바로 이 ‘모악산’ 기운을 받아서 삶을 노래하려는 책을 펴내려는 뜻이지 싶습니다.



어느 게 다행이고 / 어느 게 불행인지 / 어느 게 더 만만하고 / 어느 게 더 군색한 건지 // 어딘가로 떠나는 철새들이 / 그게 다 그거 아니냐고 / 살똥스레 저물녘을 끼룩거린다 (그게 그거라고)


거울 속 까맣게 탄 얼굴이 낯익다 / 날더러 몰라보겠다고 하는 이들도 / 정작 나를 몰라보지는 않는다 / 더 탈 데도 없는 내 얼굴을 이제는 / 오뉴월 땡볕도 낯설어하지 않는다 / 이렇게 농사꾼이 되는 거라고 짐짓 / 김칫국도 마셔가면서 틈 날 때마다 / 산밭에 와서 땀을 흘린다 (땀)



  일흔 줄을 넘어선 정양 시인은 ‘산밭’에 틈을 내어 가서는 땀을 흘린다고 합니다. 벼슬자리나 서울살이가 아닌 ‘산밭뙈기’에서 오뉴월 땡볕도 한여름 뙤약볕도 실컷 쬐면서 새까맣게 얼굴이며 살갗이 탄다고 해요.


  요즈음 어느 시골이든 모두 비슷할 텐데, 오뉴월에 밭일이나 논일을 하는 분들은 챙이 긴 모자에 긴소매에 긴바지에 수건까지 목에 두르고 땀을 흘리지만, 이렇게 꽁꽁 싸매도 얼굴이나 살갗은 까맣게 탑니다. 참 용하지요. 햇볕은 어느 틈바구니를 헤집고서 살갗을 까맣게 태울까요.


  우리 집 아이들은 모자 없이 여름볕을 고스란히 쬐면서 뛰어놉니다. 여름볕이 아무리 따가워도 모자를 쓸 생각도, 뭔가를 걸칠 생각도 없습니다. 어쩌면 이 아이들은 햇볕이 얼굴이나 살갗을 태우는 결을 좋아할는지 모릅니다. 나도 어릴 적에 개구지게 뛰놀면서 땡볕이나 뙤약볕을 두려워하지 않았어요. 머리카락 끝으로 땀이 풀풀 날리면서 신나게 뛰놀았습니다.



정년퇴임한 지 여러 해 된 / 목숨도 얼마 안 남은 동료들이 / 남는 건 시간뿐이라며 / 틈만 나면 고스톱으로 시간을 죽인다 (시간 죽이기)


할멈은 안방에서 할아범은 거실에서 / 티비 켜놓은 채 잠든다 / 전기세 아깝다며 먼저 깬 쪽이 / 살살 다가가 전원을 끄면 피차 / 용케 알고 잠이 깨어 / 다시 자려고 다시 켠다 (겨울밤)



  정년퇴임을 한 여러 동무는 “남는 건 시간뿐”이라면서 그 남는 겨를에 고스톱을 친다고 해요. 정년퇴임을 하기까지 늘 바빴을 텐데, 여행도 책도 영화도 아닌, 집살림을 건사하거나 요리를 배워 본다든가 하는 살림이 아니라, “남는 시간에 시간 죽이는 고스톱”을 한다고 합니다. 〈시간 죽이기〉라는 시를 읽으면서 조용히 웃습니다. 그러나 이 웃음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쓸쓸하기 때문입니다. 어느 모로 보면 재미난 모습이라서 빙긋 웃음이 날 만한데, 어느 모로 보면 어쩐지 애처롭습니다.


  우리한테 주어진 삶은 ‘시간 죽이기’를 할 만큼 넉넉할까 하고 되돌아봅니다. 우리가 앞으로 걸어갈 길은 ‘시간 죽이기’를 하면서 흘려보내도 될 만할까 하고 헤아립니다.



시인 윤동주가 옥사 당한 것은 / 그가 독립투사나 저항시인이어서가 아니고 / 순결한 조선의 청년이었기 때문입니다 / 일본제국주의는 조선 청년의 / 그 순결한 영혼이 본능적으로 두려웠지요 // …… // 바르샤바조약군은 폴란드를 점령하자마자 / 맨 먼저 달려가 쇼팽의 피아노를 / 산산조각으로 때려 부쉈습니다 / 해맑고 아름다운 쇼팽의 선율을 그처럼 / 군국주의는 가장 두려운 것으로 여겼답니다 (갈채, 제5회 눌민문화제)



  어쩌면 우리는 날마다 뭔가를 헛디디는 살림은 아닌가 싶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으레 뭔가를 헛짚는 삶은 아닌가 싶습니다. 살림이나 삶뿐 아니라, 사랑이나 사람(이웃·동무)까지도 헛디디거나 헛짚듯이 제대로 건사하지 못하는 하루는 아닌가 싶습니다.


  벼슬자리도 서울살이도 모두 헛걸음이지는 않을까요. 이름을 드날리려는 몸짓이나 돈을 더 거머쥐려는 몸짓도 모두 헛손질이지는 않을까요. 손수 삶을 짓지 못한다면, 손수 살림을 짓지 못한다면, 손수 사랑을 짓지 못한다면, 손수 꿈을 짓지 못한다면, 이때에는 언제나 헛짓이요 헛놀음이요 헛삶이지는 않나 싶습니다.



눈 덮인 세상 어디나 고향 같고 / 눈길 닿는 데마다 포근하지만 / 아무 데나 가서 아무나 만나 / 아무 말이나 하고 싶지만 (도둑눈)



  내가 밭자락에 앉아서 호미를 놀리면 아이들은 어느새 내 곁에 모여서 흙놀이를 합니다. 자전거를 몰아 골짜기나 바다로 마실을 가면 아이들은 내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춥니다. 아침저녁으로 밥을 차려 “자, 밥 먹을 사람?” 하고 부르면 아이들은 참새처럼 제비처럼 벌처럼 쌩하고 달려와서 밥상맡에 둘러앉습니다. 내가 두 손에 책을 쥐면 아이들도 책순이나 책돌이가 됩니다.


  껍데기나 허울만 있는 헛살림이 아닌, 알맹이와 열매가 소담스러운 속살림을 생각해 봅니다. 함께 짓는 속살림을 생각해 봅니다. 서로 사랑하는 속살림을 생각해 봅니다. 1948년 어느 날 학교에서 시킨 “깨뜨리자 삼팔선” 이야기부터 “산밭에서 땀을 흘리는 할배 농사꾼” 이야기가 흐르는 작은 시집 하나를 가만히 어루만집니다. 2016.6.16.나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