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처음으로 제대로 신고
이제껏 종합소득세를 한 번도 제대로 신고를 하지 못 했다. 신고를 하라는 편지가 와도 아이들하고 복닥이다가 언제나 신고기간을 넘기기 일쑤였다. 올해에는 제발 신고기간을 넘기지 말자고 다짐하면서 지난 5월 4일에 해 보는데, 뭔가 걸려서 도무지 안 되었다. 5월 9일 월요일이 되기를 기다려서 전화를 하는데, 아침 아홉 시부터 낮 두 시가 되도록 통화중이다가 비로소 벌교세무서하고 통화를 했고, 통화를 했지만 뾰족한 실마리를 찾을 수 없었다. 이 어질어질한 종합소득세 신고를 놓고 두 손을 들까 하다가, 다시금 ‘인터넷 찾아보기’를 해 보았고, 나처럼 ‘직장·회사를 다니지 않고 집에서 일하는 사람’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어떻게 하는가 하고 아주 깔끔하고 쉽게 안내글을 올려 준 글을 본다. 이러면서 아주 쉽게 깨닫는다. 그러네, 이렇게 쉽게 하면 인터넷으로 몇 분 안 걸려서 끝나는데, 세무서에서 보내는 안내편지라든지 세무서 일꾼하고 하는 전화통화라든지 국세청 홈텍스 누리집에 나온 안내글이나 안내영상은 ‘하나도 안 쉬웠’다.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찍거나, 아무튼 집에서 일하는 ‘작가’는 모두 나하고 비슷하겠지?
종합소득세 신고 칸을 보면 “단일소득-단순경비율 추계신고서”가 가장 앞에 나온다. 그 다음에 “일반신고서”가 나온다. 나는 긴 이름으로 된 “단일소득-단순경비율 추계신고서”가 아닌 “일반신고서”로 해야 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그냥 맨 앞에 있는 그 긴 이름으로 ‘정기신고 작성’을 누르면, 그동안 출판사나 잡지사나 방송사나 학교나 기관에서 나한테 준 일삯·일삯 항목이 저 스스로 셈을 다 해 놓고서 표가 주루루 뜬다. 그리고 ‘MyNTS’에 들어가면 내 ‘원천징수 내역’이나 ‘카드·현금영수증 내역’까지 모조리 살펴볼 수 있다.
며칠 동안 머리를 끙끙 앓도록 한 종합소득세 신고를 끝냈는데, 시골에서 사는 할머니 할아버지는 이를 어떻게 할까? 흙을 일구는 할머니 할아버지는 세무서에서 스스로 해 주려나, 아니면 어떻게 되려나. 2016.5.9.달.ㅅㄴㄹ
(숲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