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가시적


 가시적 노력 → 눈에 띄는 노력 / 돋보이는 노력

 가시적 성과 → 눈에 띄는 성과 / 돋보이는 성과

 가시적 아름다움 →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 / 도드라지는 아름다움

 가시적인 결과를 → 눈에 보이는 결과를 / 도드라지는 결과를


  ‘가시적(可視的)’은 “눈으로 볼 수 있는”을 뜻한다고 하는데, 2010년대로 접어든 뒤에 비로소 한국말사전에 실립니다. 한자말 ‘가시(可視)’는 “보다(視) + 할 수 있다(可)” 얼거리로, “볼 수 있는”을 가리키지요. 그러니, 말뜻 그대로 “볼 수 있는”이나 “눈으로 볼 수 있는”이나 “눈으로 보이는”이나 ‘보이는’이나 ‘돋보이는’이나 “눈에 띄는”으로 알맞게 손질해서 쓰면 됩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적에는 ‘비가시적’이라 하기보다는 “눈에 안 보인다“나 “눈에 안 뜨인다”나 “눈에 안 드러난다”라 하면 돼요. 2016.2.14.해.ㅅㄴㄹ



가시적이 아니라는 데

→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데

→ 눈에 뜨이지 않는다는 데

→ 눈에 드러나지 않는다는 데

→ 눈으로 볼 수 없다는 데

→ 알아차릴 수 없다는 데

《리영희-스핑크스의 코》(까치,1998) 140쪽


가시적인 업적

→ 돋보이는 업적

→ 눈에 띄는 열매

→ 오래 남는 발자취

→ 빼어난 열매

→ 훌륭한 발자국

《박도-안흥산골에서 띄우는 편지》(지식산업사,2005) 49쪽


이런 가시적 혜택을 전혀 누리지 못했다

→ 이런 도드라지는 혜택을 하나도 누리지 못했다

→ 이런 눈에 뜨이는 좋은 일이 하나도 없었다

→ 이런 눈에 뜨이는 즐거움을 하나도 누리지 못했다

→ 이런 여러 가지를 하나도 누리지 못했다

→ 이런 좋은 일이 하나도 없었다

《윌든 벨로/김기근 옮김-그 많던 쌀과 옥수수는 모두 어디로 갔는가》(더숲,2010) 164쪽


지금 가시적으로 보이는 그룹만이 전부는 아니다

→ 이제 눈에 보이는 곳만이 모두는 아니다

→ 요즘 보이는 곳만이 모두는 아니다

→ 요즈음 눈에 뜨이는 곳만이 모두는 아니다

《이즈미다 료스케/이수형 옮김-구글은 왜 자동차를 만드는가》(미래의창,2015) 3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