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좀 생각합시다 16
심심한 사과의 말씀
‘심심하다’라는 낱말을 놓고 아이들은 “아이 심심해.” 하고 말합니다. 하는 일이 없어서 재미가 없다는 뜻입니다. ‘심심하다’라는 낱말을 두고 살림하는 어른들은 “국이 심심하네.” 하고 말합니다. 국물 간을 좀 싱겁게 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한자말 ‘甚深’이나 ‘深深’을 쓰는 지식인이 있습니다. 이 한자말은 “심심한 감사”나 “심심한 사과”나 “심심한 조의”나 “심심한 경의”처럼 쓴다고 하는데, 한국 말투가 아닌 한자를 널리 받아들여서 쓰는 일본 말투입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는 영어도 널리 쓰니까 한자말쯤이야 그리 안 대수로울 만합니다만, “심심한 사과의 말씀”처럼 말하는 어른을 아이가 바라본다면 무엇을 느낄 만할까요? “심심한 감사의 말씀”처럼 말하는 지식인을 여느 살림꾼이 마주한다면 무엇을 생각할 만할까요?
아마 아이는 뭔 ‘사과’를 ‘재미없게’ 하는가 하고 고개를 갸우뚱할 테지요. 아마 살림꾼은 뭔 ‘사과’를 ‘싱겁게’ 하는가 하고 고개를 갸웃거릴 테지요.
누구한테 사과한다고 말하려 한다면 “깊이 사과”하면 됩니다. “고개 숙여 사과”하면 돼요. “거듭 사과”할 수 있을 테고, “머리를 조아리며 사과”할 수 있습니다. 4349.1.14.나무.ㅅㄴㄹ
우선 우레시노 시민 제위께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전한다
→ 먼저 우레시노 시민 모두한테 깊이 사과하는 말씀을 올린다
→ 먼저 우레시노 시민 여러분한테 고개 숙여 사과 말씀을 여쭌다
《손민호-규슈 올레》(중앙북스,2015) 40쪽
(최종규/숲노래 . 2016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