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92 물불, 불물



  한국말사전에서 ‘물불’을 찾아보면, 요즈음 사전에는 이 낱말이 나오지만, 옛날 사전에는 이 낱말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런데, 한자사전이나 일본말사전에는 ‘水火’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오늘날 한국말사전에도 ‘수화(水火)’가 나오는데, “1. = 물불 2. = 물불 3. 일상생활에서 필요 불가결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큰 재난을 일으키는 물이나 불처럼 그 기세가 대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물과 불처럼 서로 상극이 되는 것”을 뜻한다고 합니다. ‘물불’ 뜻풀이는 “물과 불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어려움이나 위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나옵니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물불’이라는 낱말을 “물과 불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는 잘 안 씁니다. 물과 불을 나타내려고 하면 ‘물과 불’처럼 씁니다. 거의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꼴로 씁니다. 이 쓰임새를 곰곰이 살피면, 한국말사전에서 ‘물불’로 적기는 합니다만, 일제강점기에 일본 한자말 ‘水火’를 ‘수화’처럼 적다가, 해방 언저리부터 ‘물불’로 고쳐서 썼겠구나 싶기도 합니다.


  물과 불은 언뜻 보자면 서로 다르다 할 만합니다. 물이 있으니 불이 꺼지고, 불이 있으니 물이 마릅니다. 그러나, 곰곰이 살피면, 물을 불로 끓여서 따뜻하게 마십니다. 불을 물로 다스리면서 여러 가지 살림이나 기계를 씁니다. 둘은 어긋나서 부딪히는(상극) 것이 아니라, ‘몸(모습)’이 다를 뿐인 하나로구나 하고 느낍니다.


  사람들 넋이 깃드는 몸에는 늘 피가 흐릅니다. 피는 ‘물’입니다. 그런데, 피는 그냥 물이 아닙니다. ‘불을 담은 물’입니다. 피는 먼저 따스한 기운이 있어서 ‘불’과 같습니다. 그리고, 피는 빨간 빛으로 이루어져서 ‘불’과 같아요. 다시 말하자면, ‘피 = 불물’이라고 할 만합니다. ‘불로 이루어진 물’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몸은 ‘불물’이라고 할 피가 흘러야 몸입니다. 우리 몸에 흐르는 피에서 ‘불과 같은 따스한 기운’이 사라진다면, 몸이 식습니다. 몸이 식으면 어떻게 될까요? 죽지요. 죽으면 어찌 될까요? ‘불물’이던 ‘피’는 곧바로 마르고 굳어서 사라집니다. 물에서 ‘불 기운’이 없으면 물이 아닌 셈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바뀌는 까닭도, 물에서 ‘불과 같은 따스한 기운’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물이 김(아지랑이, 수증기)으로 바뀌는 까닭은, 물에서 ‘불과 같은 따스한 기운’이 너무 뜨겁게 달라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우리 곁에서 사람들 삶을 아름답게 돌보도록 하는 ‘피(불물)’가 되거나 ‘물(마시는 물)’이 되자면, ‘고르게 따스한 기운’이어야 합니다. 빗물이든 냇물이든 바닷물이든 모두 ‘한결같이 따스하게 흐르는 기운’이어야 ‘물’로 있을 수 있습니다.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같은 말은 왜 생겼을까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수화(물불)’이었을 텐데, 한국에서는 ‘불물’입니다. 그러니까, ‘내 피를 따지지 않는’ 셈입니다. ‘내 목숨(숨결)을 가리지 않는’ 모습입니다. 내 피가 어떻게 되든 뛰어들기에,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같은 말을 쓸 수 있습니다.


  물만 넘치거나 불만 넘치면, 끔찍하다는 일이 터집니다. 우리 누리는 온(모든) 것이 오롯이 있을 때에 ‘온누리’입니다. 온누리가 아니라면 아름답거나 사랑스럽지 않습니다. 곧, ‘물누리·불누리’라 한다면, 물바다와 불바다가 될 테니, 한쪽으로만 치달은 셈입니다. 물로만 치닫거나 불로만 치달으면 어찌 될까요? 모두 죽어요. 어느 쪽으로 치닫든 모두 죽음입니다. 이쪽이 맞거나 옳거나 좋지 않습니다. 저쪽이 맞거나 옳거나 좋지 않습니다. 우리한테는 둘 모두 아름답게 있어야 합니다. 어정쩡하게 ‘가운데(중도, 중립)’에 있어야 하지 않아요. 둘이 함께 어깨동무를 하면서 기쁘고 살갑게 나란히 있어야 합니다. 4348.3.13.쇠.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